식목일(4월 5일)이 법정 휴일에서 제외된데다 적합한 기후에 맞춰 식목 행사를 앞당겨 갖는 지방자치단체들이 늘어나면서 `온 국민이 나무를 심는 날'이라는 식목일의 전통적 의미가 점점 퇴색하고 있다.
식수(植樹)를 통해 산을 푸르게 가꾸자는 취지의 식목일 명맥은 이어지고 있지만 예전처럼 각 기관.단체 등의 나무심기 행사가 방방곡곡에서 동시에 열리지는 않고 있는 것이다.
전국 각 시도에 따르면 이날 식목행사를 가진 광역지방자치단체는 청원군 오송생명과학단지에서 정우택 지사 등이 참가한 가운데 소나무를 포함해 1천600그루를 심은 충북도를 포함해 전북도, 대전시 등 소수에 불과했다.
물론 국가인권위원회 부산사무소 등 자체적으로 나무를 심은 곳도 많았지만 대부분의 광역자치단체는 미리 식목행사를 가진 것으로 파악됐다.
울산시는 지난달 27일 달천근린공원 일대에서 일찌감치 식목 행사를 갖고 소나무와 산벚나무, 이팝나무 등 1천500여 그루를 심었다.
울산의 경우 지역의 3월 중순 기후가 나무심기에 알맞아 1998년부터 식목일 행사를 앞당겨 벌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구시도 이에 앞서 올해 따뜻한 날씨로 예년에 비해 10여 일 앞당긴 3월 중순 식목행사를 가졌다.
비슷한 시기에 광주시와 전남도, 제주도가 식목행사를 연 것을 비롯해 인천시, 경기도 등도 이미 나무심기 행사를 마친 상태다.
서울시 역시 식목일인 5일 별다른 식목행사를 갖지 않았다.
충북도 관계자는 "충북은 식목일을 산불 없는 날로 만들기 위한 '산불 제로 작전'을 병행해 불가피하게 당일 식목행사를 갖고 있지만 공휴일이 아닌 데다 나무심기에 좋은 날씨를 고르자는 분위기가 확산되면서 식목행사를 앞당기는 곳이 많아지는 추세"라고 말했다.
이 처럼 식목일은 나무를 심는 날이라는 등식이 바뀌고 있지만 식목행사가 분산 개최되면서 해마다 식목일이면 발생하던 전국적인 산불이 줄어들 것이라는 전망도 나오고 있다.
(청주.광주.전주=연합뉴스) jcpark@yna.co.kr
ⓒ 미디어워치 & mediawatch.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