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는 8~11일 빌 리처드슨 미국 뉴멕시코 주지사의 방북때 6자회담 차석 대표인 빅터 차 백악관 국가안보회의(NSC) 한국 일본 담당 보좌관이 동행하는 것으로 3일 확인됐다.
조지 부시 대통령 집권 이후 백악관 관계자가 북한을 방문하는 것은 처음으로 북미 관계를 정상적 궤도로 올리기 위한 첫 신호탄이 될 지 주목된다.
이와함께 그의 방북시 북한의 김정일 국방위원장의 희망대로 부시 대통령의 친서 내지는 구두 메시지가 전달될 지도 관심이다.
앞서 김 위원장은 지난달 초 뉴욕을 방문한 김계관 외무성 부상을 통해 미국측에 북미간 신뢰 구축 및 관계 정상화를 위해 부시 대통령의 친서와 특사 방문을 강력히 희망하고 있음을 피력한 것으로 알려졌다.
백악관은 그러나 이날 리처드슨과 앤소니 프린스피 전 보훈처 장관의 방북을 발표하면서 차 보좌관의 방북 계획은 언급하지 않았었다.
백악관은 특히 리처드슨 일행을 '초당파적 민간 대표단'이라고 언급하고 방문 목적을 "미군 유해 반환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것"이라고 한정했으며 '소수의(a small number of) 관리들'이 전문가적 지원을 제공할 것이라고 말했었다.
'초당파적'이란 리처드슨이 민주당 소속이고, 프린스피 전 장관이 공화당원으로서 지난 2001~2005년 부시 대통령 밑에서 일한 것을 뜻하는 것이라고 한 외교 소식통은 전했다.
이 소식통은 이어 "리처드슨 일행의 방북이 초당파적 성격인데다 백악관 및 국방부 관리도 함께 동행하는 거의 '공식적'인 성격임을 주목해야 할 것" 이라면서 "특히 차 보좌관의 방북은 부시 대통령이 북한에 강한 우호적 메시지를 주기 위한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이 소식통은 또 리처드슨이 방북후 서울에서 기자회견도 가질 계획인 것으로 알고 있다고 전했다.
이와관련, 리처드슨은 전날 앨버커키로 이태식 주미 한국대사를 초청, 오찬을 함께 하면서 자신의 방북과 관련해 심도있게 논의한 것으로 알려졌다.
그러나 백악관은 리처드슨 일행의 방북이 인도적 목적의 '민간' 차원이라며 그 의미를 절하했으며, 국무부 관계자도 "부시 대통령의 특사설, 친서설은 전혀 사실이 아니다"며 완강히 부인했다.
한편 이번 대표단에는 미 국방부의 제임스 맥두걸 중앙 아시아 담당 부차관보와 지난 2005년 10월 리처드슨 주지사 방북 당시 수행했던 북한 전문가 토니 남궁 박사도 포함된 것으로 전해졌다.
UC 버클리대 출신 역사학자인 남궁 박사는 북한의 합영법 초안 작성에 관여하고, 한성렬 전 북한 유엔 대표부 차석 대사 등 북한측 인사들과 폭넓은 교류를 가져왔다.
맥두걸 부차관보는 실종 미군 유해 발굴에 관한 전문가이기도 하지만 한반도 정책 실무 책임자인 리처드 롤리스 아태 담당 부차관이 신병을 이유로 사표를 제출한 것과도 연관이 있는 것으로 보인다.
(워싱턴=연합뉴스) nhpark@yna.co.kr
ⓒ 미디어워치 & mediawatch.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