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제보 및 독자의견
후원안내

기타


배너



건강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야채나 육류 뿐 아니라 케첩, 잼, 간장, 된장 등 가공식품 등에도 유기농 제품이 늘어나고 매출도 확대되고 있다.

27일 업계에 따르면 유기농 제품은 일반 제품에 비해 가격이 평균 2-3배씩 비싸기 때문에 시장규모가 크지는 않지만 고소득 계층이나 자녀에게 각별한 부모들에게서 좋은 반응을 얻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다양한 유기농 제품 = 케첩 시장 점유율 1위인 오뚜기는 최근 미국 농무성에서 유기농 인증을 받은 원료로 만든 유기농 케첩을 출시했고 그에 앞서 지난해 6월에는 국산 유기농 딸기로 만든 유기농 딸기잼을 내놨다.

풀무원도 올 초 유기농 콩을 원료로 하고 유기농 기준에 맞는 세제를 사용해 만든 유기농 두부를 선보였고 파스퇴르와 크라운제과도 역시 연초에 각각 유기농 원유로 만든 유기농 요구르트와 친환경 유기농 과자를 판매하기 시작했다.

대상은 유기농 제품 대중화를 목표로 지난 2004년 오푸드 브랜드를 도입한 뒤 유기농 올리브유와 케첩, 참기름, 사과식초 등을 선보인데 이어 최근 유기농 순창고추장, 햇살담은 양조간장, 순창된장, 곡류차, 밀가루, 수라당면, 딸기잼을 출시했다.

이 밖에도 치즈, 분유, 주스 등 다양한 유기농 제품이 판매되고 있다.

유기농 제품의 가격은 일반 제품에 비해 대체로 훨씬 비싸서 오뚜기 케첩은 400g에 4천원으로 일반 케첩이 500g에 1천480원인데 비하면 4배 가까이 높고 파스퇴르 요구르트도 450㎖에 5천900원으로 두배 반에 달한다.

◇높은 성장세 = 건강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비싼 가격에도 불구하고 이마트에서 된장, 케첩, 식초, 치즈, 과자 등 유기농 가공식품의 매출이 올들어 지난 25일까지 32%나 증가할 정도로 유기농 시장은 확대되고 있다.

이마트 관계자는 "일반 제품군 매출이 제자리 걸음이거나 10% 미만 늘어나는데 그쳤던 것에 비해 성장세가 높았다"고 말하고 "특히 아이들이 먹는 치즈와 과자 쪽 반응이 좋다"고 전했다.

홈플러스에서도 장류, 조미료 등에서 유기농 제품 비중이 6-7%선인데 지금 추세대로라면 연말에는 15-20%까지 올라설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유기농 가공식품이란 = 유기농 가공식품은 식품위생법상 물과 소금 제외한 원료의 95% 이상이 유기농 성분이어야 하며 이를 어길 경우 품목제조정지 15일 등의 처벌을 받는다.

업계에서는 처벌 자체보다는 이미지가 추락하는데 따른 타격이 워낙 크기 때문에 유기농 기준에 미달하는 제품을 섣불리 유기농이라고 팔 수는 없다고 주장하고 있다.

이들은 또 유기농 제품에도 국산이 아닌 중국산 원료를 쓰는 경우가 많은데 꺼림칙해할 필요가 없다고 말했다.

중국이 유기농 산업을 정책적으로 밀고 있어서 관리가 엄격할 뿐 아니라 우리나라에도 없는 인증기관이 여러개 있을 정도로 앞서가고 있다는 것이 이들의 설명이다.

그보다는 아직까지 생산 공정에 대한 인증이 없고 일부 업체가 자체적으로 외국 인증업체의 인증을 받는 식으로 관리되는 것이 문제인 것으로 지적됐다.

유기농 재료를 쓰더라도 생산 과정에서 다른 제품과 섞이거나 검증되지 않은 물 등으로 세척을 할 경우 유기농 제품으로서 진정한 가치가 떨어지기 때문이다.





(서울=연합뉴스) merciel@yna.co.kr



배너

배너

배너

미디어워치 일시후원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현대사상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