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제보 및 독자의견
후원안내 정기구독 미디어워치샵

포린미디어워치 (해외언론)


배너

마이크 폼페이오 전 장관 “중국 정찰풍선이 바이든 정부 약점 드러내”

“미국인들에게 가장 위험한 것은 바이든이 중국에 대한 억제력을 잃었다는 사실”

미국 상공을 횡단한 중국의 정찰용 풍선으로 인해 미국인들이 경악하고 있다. 미국은 지난 4일 미국 몬태나 주 대륙간탄도미사일(ICBM) 발사장 상공을 지나던 풍선을 전투기로 격추시켰지만, 이미 풍선이 미국 전역을 떠다니면서 불안감을 고조시킨 이후였다.

중국 풍선에 대한 미국 정부의 대처가 늦었다는 비판이 제기되면서, 이 사건은 2024년 대선을 앞두고 바이든 정부에 또 하나의 악재가 됐다는 분석도 설득력을 얻고 있다.

미국의 유력 매체인 폭스뉴스(Fox News)는 6일(현지시간) 트럼프 정부에서 국무장관을 지낸 마이크 폼페이오(Mike Pompeo) 전 장관의 칼럼 “중국 정찰풍선은 바이든 정부의 약점을 드러냈고, 시진핑은 이를 이용할 것(China spy balloon fiasco exposed Biden's astonishing weakness and Xi will drive a truck through it)”을 게재했다.



폼페이오 전 장관은 서두에서 공화당 소속 로널드 레이건 전 대통령이 남긴 교훈을 소개하면서 “분명한 힘과 강한 결의만이 평화로 이어진다”고 말했다. 이어 약함, 유화, 모호함은 전쟁을 초래할 수 있다고 강조하면서 바이든 정부의 외교정책이 심히 나약하다고 규정했다.

폼페이오 전 장관은 “나는 바이든의 미약한 반응이 계속해서 중국의 침공을 부추길 것이라고 본다”며 미국이 결국 중국 정찰용 풍선을 격추시키긴 했지만, 풍선이 미국 전역을 날고 국민들의 분노가 최고조에 달한 후에야 그렇게 한 것이라고 비판했다.

폼페이오 전 장관은 트럼프 정부 당시 시리아에서 러시아의 지원을 받은 병력이 미군을 위협했을 때 미군이 그들을 전멸시킨 사실을 언급했다. 이어 이란의 테러 세력이 카셈 솔레이마니의 지시로 미국인을 위협하자 당시 정부가 즉시 솔레이마니를 제거하는 강경 대응을 했다고 지적하면서 바이든 대통령의 나약한 외교정책과 트럼프 전 대통령의 단호한 정책을 비교하기도 했다.

폼페이오 전 장관은 트럼프 정부가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을 저지하기 위해 유럽에 주둔한 미군을 전진 배치하고 우크라이나에 군사 원조를 하는 등 가능한 모든 수단을 동원했다고 밝혔다. 이어 그는 “우리는 중국 공산당에 대해서도 확실히 선을 그었다”며 “중국이 텍사스 휴스턴에 있는 영사관에서 역사상 가장 큰 스파이 조직을 운영하고 있다는 것을 알았을 때, 우리는 영사관을 폐쇄했다”고 강조했다.

폼페이오 전 장관은 트럼프 정부에서 구축했던 억제력(deterrence)이 현 정부에서는 존재하지 않는다며 바이든 대통령을 재차 비판했다. 이어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과 아프가니스탄에서의 무질서한 미군 철수 등을 언급하면서 “미국인들에게 가장 위험한 것은 바이든이 중국에 대한 억제력을 잃었다는 사실”이라고 밝혔다.

또 그는 시진핑의 중국이 미국 남쪽 국경을 통해 위험한 마약인 펜타닐을 계속 반입시키고 있다고 지적한 후 “뿐만 아니라 백악관 보좌관들은 시진핑이 대만을 위협할 때마다 바이든의 대만 방어 방침에 대한 모호한 선언을 철회하면서 혼란을 봉합하느라 며칠을 보낸다”고 언급, 중국에 대해 단호하지 못한 바이든 정부의 스탠스를 공격했다. 

폼페이오 전 장관은 “미국 국민들이 우리의 대만 관련 정책을 이해하지 못한다면, 어떻게 우리의 파트너와 동맹국들이 이해할 수 있겠는가”라고 반문한 후 “시진핑은 이 혼란과 허약함을 기회라고 생각할 것”이라고 분석했다.

폼페이오 전 장관은 시진핑이 이번 정찰 풍선을 보낸 의도가 “바이든 대통령의 의지를 테스트하는 것”이라고 지적하고 “그는 우리가 어디까지 방어할 의사가 있는지를 알고 싶어한다”라고 주장했다.

이어 그는 “만약 우리가 이 주권 침해에 대해 명백한 힘을 보여줄 의향이 없다면, 그것은 시진핑이 추가적인 침략 행위를 대담하게 하도록 만들 뿐”이라고 전제하고 “조만간 이것은 미국인들에게 훨씬 더 심각한 비용을 초래할 것”이라고 언급하면서 칼럼을 마무리했다.



배너

배너

배너

미디어워치 일시후원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현대사상

더보기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