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 아베정권이 ‘군 위안부 강제동원’을 인정한 ‘고노담화’에 대해 수정을 위한 행보가 본격화 됐다. 일본 주요언론들은 20일 “담화 작성 과정에서 한일 정부 간의 문안 조정이 있었다”는 내용을 담아 검증결과 보고서를 국회에 제출했다.
이와 관련 홍문종 새누리당 대표최고위원 후보는 “아시아 각국의 위안부 피해자의 명예와 존엄성을 모독하고 담화 자체를 무력화 시키려는 행위로 규정”하고 “위안부 할머니들의 영혼까지 유린하는 행위”라며 강하게 비판했다.
홍 후보는 “일본 정부의 검증을 가장한 담화 무력화 시도로는 과거의 만행과 과오를 지울 수 없다”며 “이후 사태의 책임은 전적으로 아베정권에게 있다”고 했다.
특히, 홍 후보는 “오늘날 우리 정치권이 화합하고 대한민국의 국익과 미래 준비하기보다 반대를 위한 반대 등 당리당략에만 치중하므로써 일본의 오만과 오판을 야기한 책임도 있다”고 밝히고 “정치인의 한 사람으로 깊이 반성한다”며 국익과 미래를 우선하는 정치권의 화학과 단결을 강조했다.
이날 홍 후보는 “국회가 여야를 떠나 화합하고 일치단결하여 일본 아베 정권에 단호한 모습을 보여야 한다”고 언급하며 7.14 전다대회 서청원 김무성 후보 등 출마자들과 여야 국회의원들에게 ‘일본 아베정권의 고노 담화 무력화 시도 규탄 결의안’에 동참해 줄 것을 호소했다.
한편, ‘고노담화’는 지난 1993년 8월 4일 고노 료헤이(河野洋平) 당시 관방장관이 담화 형식을 통해, 2차 세계대전과 일제 침략시기 일본 정부와 일본군이 위안부를 강제 동원하고 학대 관리하는 데 주도적인 역할을 했다고 인정하며 사죄한 것이다. 그러나 아베정권에서는 이를 인정치 않고 있다. 이에 따라 지난 2월 하순부터 ‘고노 담화 검증팀’을 설치하고 본격적인 수정작업에 착수한 것으로 알려졌다.
홍범호 기자
ⓒ 미디어워치 & mediawatch.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