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제보 및 독자의견
후원안내

폴리틱스워치 (정치/사회)


배너

구창환의 여의도 SNS 통신 (6) - 현충일을 맞이한 정치인들의 트위터

여의도 SNS 통신 (6) - 김을동, 원유철, 심윤조, 조전혁, 이노근, 이장우, 정병국, 홍문종, 심재철, 김명연, 김정훈, 박성효, 심학봉


현충일은 나라를 위하여 목숨을 바친 애국 선열과 국군 장병들의 넋을 위로하고, 충절을 추모하기 위하여 정한 기념일이다.

6월 6일이며, 공휴일로 지정되어 있다. 호국영령의 명복을 빌고 순국선열 및 전몰장병의 숭고한 호국정신과 위훈을 추모하는 행사를 한다.

국가가 존재하는 데에는 상당한 전란을 거치게 되어 있고, 모든 국가는 그 전란에서 희생된 자를 추모하는 행사를 하고 있다. 우리나라도 1948년 8월 정부수립 후 2년도 채 못 되어 6·25동란을 맞았고 이에 40만 명 이상의 국군이 사망하였다.

1953년 휴전이 성립된 뒤 3년이 지나 어느 정도 자리가 안정을 찾아가자 정부는 1956년 4월 대통령령 제1145호로 「관공서 공휴일에 관한 건」을 개정하여 매년 6월 6일을 현충기념일로 지정하여 공휴일로 하고 기념행사를 가지도록 하였는바, 현충기념일은 통상적으로 현충일로 불리다가 1975년 12월 「관공서 공휴일에 관한 규정」이 개정되어 현충일로 공식적으로 개칭되었다.

행사는 국가보훈처가 주관이 되어 행하는바 서울에서는 국립묘지에서 가지고 있다. 추모대상범위는 6·25동란에 전사한 국군만 대상으로 하는 것은 아니고, 우리나라를 지키기 위하여 목숨을 바친 모든 선열의 넋을 기리고 있다.

대통령 이하 정부요인들, 그리고 국민들도 국립현충원을 참배하고, 이날 오전 10시에는 전국민이 사이렌 소리와 함께 1분간 묵념을 올려 고인(故人)들의 명복을 빈다. 국가보훈처 주관 아래 3부 요인과 각계 대표 공무원, 학생 등이 참석하여 현충일 추념식을 갖는다.



김을동 ‏@euldongkim
영광스런 대한민국의 오늘을 살 수 있음에 감사드립니다.
자랑스런 선열들의 후손임에 또 감사드립니다.
당신들께서 지켜내신 이 귀한 대한민국을 위해 미력한 역할이나마 할 수 있음에 너무나 감사드립니다. 일평생 잊지 않고 한 길만 가겠습니다.
당신들의 자부심이 되겠습니다.


원유철 ‏@won6767
현충일이 저물어 갑니다
나라를 지키기위해
헌신하신 호국 영령들의
정신과 뜻을
마음속에 다시한번
깊게 새기는
하루 였습니다

심윤조 ‏@yjshim2012 3시간
국립현충원에서 열린 현충일 추념식에 다녀왔습니다. 나라를 지켜주신 호국영령들을 기리며 감사의 마음을 다졌습니다. 새벽에는 대전현충원에 가시는 보훈단체 유가족 여러분들을 배웅하였습니다. pic.twitter.com/NnD5AE2UhR

조전혁 ‏@jhcho100
현충일입니다. 나라를 위해 바친 희생보다 더 고귀한 희생은 없지 않나 합니다. 그 거룩한 넋들을 이 아침에 다시 한 번 기립니다. 고맙습니다. 고맙습니다.

이노근 ‏@nokeunLee
현충일 아침이네요 그런데 현충일의 진정한 의미를 왜곡되고 있는것같아요
젊은사람들이 현충일 전야 대규모 술파티를 벌렸다는소식이 들리고, 사회지도층들이 골프채메고 공항이나 고속도로로 행렬이 열을 지네요. 그러나 집집마다 국기게양이나 참배객도 줄어드는것같아요

이장우 ‏@jangwoo2020
고맙습니다
감사합니다
늘 잊지않고 살겠습니다
조국을 위해 고귀한 목숨을 바친 그들은 진정한 영웅이십니다.

정병국 ‏@withbg
현충탑앞에 참배하면서 조국을 다시 생각합니다.
조국을 지키기 위해 희생하신분들에게 조국은 어떤 의미이며 그분들 덕분에 이렇게 잘 사는 우리에게 조국은 어떤 의미인가요.
이제 그분들의 희생이 헛되지 않도록 내가 할 일을 다시 가다듬습니다.

홍문종 ‏@mjhong
현충탑 참배를 마치고 착잡한 마음으로 돌아왔습니다. 순국열사의 숭고한 희생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안위를 걱정해야 하는 국가의 운명이 안타까웠습니다. 하지만 호국영령의 뜨거운 애국심을 떠올리니 그 어떤 장애물도 문제없다는, 자신감이 충만해졌습니다.

심재철 ‏@cleanshim
오늘은 58번째 현충일입니다. 우리나라를 위해 목숨 바친 순국선열과 호국영령의 희생정신을 기리며 숭고한 뜻을 되새기는 하루가 되길 바랍니다.


김명연 ‏@mmy523400
오늘은 6월6일 현충일입니다. 오늘이 단순한 공휴일이라서 쉬는 날이 아닌 나라를 위해 목숨을 바친 순국선열의 넋을 기리고 그분들의 숭고한 호국정신을 가슴깊이 새기며 감사하는 마음으로 뜻 깊은 하루를 보냈으면 좋겠습니다.

김정훈 ‏@kjh8007
저는 오늘 58번째 현충일을 맞이하여 중앙공원 충혼탑과 충렬사, UN기념공원을 찾았습니다.
올해는 정전 60주년이 되는해라 더욱 숙연한 마음으로 추모의 인사를 올렸습니다. 나라를 위해 헌신한 유공자 여러분들과 대한민국 보훈가족들의 권익증진을 위해 더욱 힘쓰도록 노력겠습니다. 오늘 모두에게 의미깊은 하루가 되시길 바랍니다.

박성효 ‏@psh365
조기게양은 하셨나요? 조국을 위해 희생하신 순국선열과 호국영령의 넋을 위로하고, 충절을 추모하는 현충일의 의미를 잊지 않았으면 합니다. 아직 늦지 않았으니 꼭 조기게양해주세요


심학봉 ‏@simhagbong
구미시민 여러분, 오늘은 현충일입니다. 혹시 집에 조기를 게양하고 짧은 시간이나마 묵념하셨나요? 저는 박정희 대통령 생가와 비봉산 충혼탑을 방문하여 순국선열과 호국영령을 기리는 추도의 시간을 가졌습니다. 그런데 어제 참 안타까운 기사를 보았습니다. 대부분의 우리나라 중고등학생들이 현충일의 의미를 제대로 모르고 있다고 하네요. 미래세대를 위한 역사교육이 얼마나 중요한지 다시 한 번 깨닫게 되는 순간이었습니다.오늘 하루, 자녀들과 함께 현충일이 정확히 어떤 날인지를 다시 한 번 되새겨 보는건 어떨까요? 국민 모두가 애국과 헌신, 충성을 가슴에 아로새기는 58번째 현충일이 되길 바랍니다.



배너

배너

배너

미디어워치 일시후원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현대사상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