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제보 및 독자의견
후원안내

기타


배너

한국형 고속열차 해외 첫 도전 성공할까

철기연 "브라질 리우-상파울루 고속철 사업 진출 추진"


우리 나라가 자체 개발한 한국형 고속열차가 해외 시장에 첫 도전장을 내밀어 결과가 주목된다.
7일 건설교통부와 한국철도기술연구원에 따르면, 연구원은 현재 브라질 정부가
추진 중인 리우데자네이루-상파울루 412km 구간의 고속철도 건설 사업에 참여하기
위해 투자의향서를 제출할 방침이다.


브라질 정부는 고속철도 건설 사업을 위해 BOT(Build, Operate & Transfer: 시
행자가 SOC를 건설해 운영하고 계약기간 종료시 소유권을 양도) 방식을 전제로 사업
을 추진하고 있다.


상파울루 인구가 1천900만명, 리우데자네이루 인구는 1천200만명으로 두 도시
권역의 인구는 브라질 전체 인구의 3분의 1을 차지한다.
두 도시의 경제적 규모 역시 브라질 경제의 절반을 차지하는 등 잠재적인 교통
수요가 막대해, 브라질 고속철 건설 사업에 이탈리아와 독일 등 철도 선진국들이 경
쟁적으로 뛰어들고 있다.


연구원 관계자는 "현재 브라질 고속철도 사업에 참여하기 전 사업의 타당성 조
사를 진행하고 있으며, 조만간 타당성 조사를 완료하고 구체적인 투자 계획을 확정
해 투자의향서를 브라질 정부에 제출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연구원 측은 이미 작년부터 브라질 현지에 연구진을 파견해 한국형 고속열차의
적용 가능성을 검토해 왔으며, 최근 한국-브라질 고속철도 국제협력 세미나를 개최
하는 등 브라질 시장 진출에 공을 들여 왔다.


연구원은 이탈리아와 독일 등이 제시한 투자 내용과 비교 분석한 결과, 우리의
한국형 고속열차 시스템도 충분한 경쟁력이 있다고 판단하고 있다.
연구원 관계자는 "한국형 고속열차는 최고 속력이 350㎞/h로 300㎞/h인 이탈리
아와 독일 시스템보다 빠르고, 건설비용도 두 국가에서 제시한 예상 비용의 85% 정
도로 저렴해 경쟁력을 확보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그러나 한국형 고속열차는 2009년 KTX 호남선에 첫 투입되는 등 아직 실용화 실
적이 전혀 없는 상태여서 수년 전에 투자의향서를 내놓고 준비해 온 독일과 이탈리
아와의 경쟁에서 경험이 부족하다는 단점도 있다.

 

(서울=연합뉴스) 윤종석 기자

banana@yna.co.kr



배너

배너

배너

미디어워치 일시후원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현대사상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