李당선자 언급..전남도 "간선도로 대부분 개선"
입주업체 "교량 하중 개선이 우선돼야"
(영암=연합뉴스) 조근영 김재선 기자 = 이명박 대통령 당선인이 18일 공무원들 경직성의 주요 사례 중 하나로 언급한 전남 대불산단 '전봇대'에 대한 지역민들의 궁금증이 커지고 있다.
이 당선자는 이날 인수위 간사회의에 참석해 "선거 때 목포 대불공단에 가 봤는데 공단 옆 교량에서 대형트럭이 커브를 트는데 폴(전봇대)이 서 있어 잘 안 된다. 그 폴을 옮기는 것도 몇 달이 지나도록 안됐다"면서 "산자부 국장이 나와있어 물어봤더니 `도(道)도 권한이 없고 목포시도 안 되고 산자부도 안 되고 서로 그러다 보니 폴 하나 옮기는 것도 안 된다. 아마 지금도 안됐을 거다. 이런 식으로 하니까..."라고 지적했다.
이 당선자는 기업의 애로 사항이 있는데도 중앙 정부와 지방자치단체에서 큰 관심을 가지고 있지 않아 지역경제 활성화, 나아가 국가경쟁력에 걸림돌이 되고 있다는 주요 사례로 언급한 것으로 풀이돼 전남도와 기초자치단체가 민감한 반응을 보이고 있다.
실제 대불산단 전봇대 문제는 대불산단에 입주한 일부 기업들이 항만에서 상.하역 작업 과정에서 전봇대에 걸려 있는 전선이 '걸림돌'로 작용한다는 민원이 끊임없이 제기됐는데도 불구하고 상당기간 '방치'돼 기업활력에 어려움을 겪은 것으로 알려졌다.
대불산단에 입주한 기업들은 상.하역 작업을 하는 과정에서 전선을 일부 철거했다가 작업이 끝나면 다시 설치하는 등 행정력 낭비를 초래한 것으로 지적돼왔다.
이에 따라 전남도는 지난 2004년부터 모두 80억원의 예산을 투입키로 하고 대불산단 내 25m 이상의 중대형 도로에 위치한 전봇대를 지중화하기 위해 지난해 말까지 46억원을 들여 17.7㎞ 구간의 공사를 대부분 마무리했다.
또 올해 4.7㎞ 구간의 14m 소규모 도로의 전봇대 지중화를 위해 20억 원의 예산을 확보하는 등 대불산단을 지방과학연구단지로 지정받아 전선 지중화사업에 총력을 기울이고 있다.
하지만 소규모 도로에 위치한 중소 조선 부품업체들은 조립품 운반에 한계가 있어 대규모 수주를 할 수 없다며 불만을 표출하고 있는 상황이다.
이에 대해 전남도 관계자는 "올 상반기까지 모두 66억원의 예산을 투입해 큰 도로의 전봇대 지중화 사업을 대부분 마무리해 대규모 조선 부품 하역에 전혀 문제가 없다"며 "다만 하청업체들이 많은 나머지 지선 도로의 전봇대 지중화에 대해 이른 시일 내에 지중하를 추진해 나갈 방침"이라고 밝혔다.
한편 대불산단 입주 A업체 관계자는 "전봇대 철거도 중요하지만 대불산단에서 대불항으로 오가는 10여개 가량의 교량을 화물차들이 자유롭게 왕래할 수 있도록 튼튼하게 재 가설하는 것이 대불산단 기업체들에게는 중요한 문제다"고 주장했다.
kjsun@yna.co.kr
(끝)
ⓒ 미디어워치 & mediawatch.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