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당 = 17일 오전 손학규 대표와 김효석 원내대표 등이 참석한 가운데 긴급 원내대책회의를 열어 대응책을 논의했다. 손 대표는 지방방문 일정을 취소하고 회의에 참석했다.
신당은 정부조직개편안 발표 직후 강경하게 반대하던 입장에서 "큰 틀에서는 긍정적으로 평가한다"며 다소 유연한 쪽으로 선회했으나 통일부 통합에 대해서는 여전히 `수용불가'를 주장하고 있다.
특히 인수위와 한나라당이 통일부 통합안을 고수할 경우 임시국회 처리에 협조할 수 없다며 배수진을 치고 있다. 또한 과학기술부와 여성부 폐지 등에 대해서도 반대 입장을 분명히 하고 있다.
그러나 구체적 대안에 대해선 18일 자체 공청회 등을 통해 충분히 의견을 수렴한 뒤 인수위, 한나라당과의 대화를 통해 바람직한 절충안을 도출한다는 계획이다.
`이명박 정부'에 대한 국민적 기대가 있는 상황에서 새 정부 출범 전부터 반기를 들 경우 총선에서 자칫 역풍을 맞을 수도 있다는 판단에 따른 것으로 보인다.
신당은 통일부 통합안이 `협상용 카드'로 제시됐다는 관측도 나오고 있는 만큼 국회논의 과정에서 통일부 존속 입장을 관철시킨다는 방침이다.
김진표 정책위의장은 CBS 라디오에 출연, "작고 효율적인 정부를 만든다는 큰 방향은 옳다고 보지만 그러려면 중앙정부가 하던 일을 민간과 지방정부로 넘기는 분권화, 민영화의 구체적 계획이 뒤따라야 하는데 허겁지겁 하다 보니 이에 대한 구체적 로드맵이 없다. 분권화와 민영화의 구체적 프로그램을 국회 심의 과정에서 따져봐야 할 것"이라며 "절반의 성공"이라고 평가했다.
그는 특히 "남북관계는 특수관계로 남북경제 공동체 형성, 군사긴장완화, 통일 문제 등은 전통적 외교영역에서 벗어나 있다"며 "남북문제를 종합적으로 조율하면서 전 부처 차원에서 추진하려면 외교부가 하는 게 맞지 않다"고 주장했다.
우상호 대변인은 SBS 라디오에 출연해 "전체적으로 나라의 행정기구 전체를 너무 크게 흔들어놨다. 아무리 새로운 통치자의 재량권에 해당된다 하더라도 국가 생활에 미치는 영향이 심대한 사안에 대해 일방통행식으로 난도질 해도 되느냐"며 "효율성을 넘어선 개편"이라고 비판했다.
그는 "통일 문제를 외교부 밑에 둔다면 전통적 우방과의 관계를 우선시하는 외교부 특성상 남북관계를 미국이 시키는 대로 끌고 갈 가능성이 크다"며 "외교안보 부서를 과감하게 손 댄 것과 과학기술부 부분은 국회에서 동의하기 어렵다"고 말했다.
한편 강창일 의원은 보도자료를 내고 인수위가 친일 반민족행위 진상규명위, 일제강점하 강제동원피해 진상규명위, 진실화해를 위한 과거사정리위 등을 폐지키로 한 것과 관련, "당선인이 할 일은 과거청산이 제대로 되도록 돕는 일"이라며 "이를 헌신짝 버리듯 내팽겨친다면 파쇼국가로 돌아가는 역사의 반동"이라고 맹비난했다.
south@yna.co.kr
hanksong@yna.co.kr
(끝)
ⓒ 미디어워치 & mediawatch.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