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당의 친노세력들이 좌불안석이다. 패배한 후보는 정동영이지만, 누가봐도, 후보의 패배가 아니라 노무현 정권의 패배이기 때문이다. 특히, 신당의 다수가, 노무현 정권과 선을 긋고 가야한다고 주장한 반면, 친노세력들은 끝까지 노무현 정권의 계승을 주장했기에, 이에 대한 책임론이 불거질 공산이 크다.
신당에서는 벌써 몇몇 의원들이 "이번 기회에 친노들을 완전히 버리고 가지 않으면 총선에서도 전멸"이라며 일전을 벌일 의지를 보이고 있다. 이것은 감정적인 문제가 아니라 현실의 문제이다. 친노의 대표주자인 이해찬, 유시민 등이 신당의 전면에 서 있는 이상, 선거는 해보나마이다. 그야말로 정권 내내 떵떵거렸던 친노들은 이제 대량학살의 운명을 맞게 된 것이다.
이런 친노들이 유일하게 믿고 있는 사람은 강금실 전 법무장관인 모양이다. 향후 당권과 관련하여, 정동영계의 인물, 그리고 손학규 후보 등등과 함께 강 장관의 이름이 오르내린다. 주로 친노세력들이 선호한다는 이유에서이다.
친노들이 이해찬, 유시민, 김두관 등 쟁쟁한 친노들을 놔두고 강금실에 붙는 이유는, 그나마 강금실에게는 싸가지 없는 이미지가 없기 때문이다. 이해찬처럼 "조중동은 내 손아귀에 있다"라는 막말을 퍼부어댄 적도 없고, 유시민처럼 "노무현이 싫으면 당을 떠나라"는 등, 호가호위를 한 적도 없다. 즉 친노세력 중에서는 부정적 이미지가 가장 적다는 판단들을 한 것이다.
그러나, 과연 2003년이 아닌 2008년의 정치를 앞두고 강금실이라는 구시대 인물을 간판으로 내세워서 친노들이 살아날 수 있을까? 그 젊고 참신한 강금실이 구시대 인물이라고? 그런 게 정치이고 시대정신이다.
강금실은 노무현 정권이 낳은 사생이다. 그는 노무현 정권 초기시절, 한창 한나라당과 민주당을 죽이기 위해 온갖 정치공작을 펼쳤을 때, 정계에 데뷔했다. 물론 국회가 아닌 법무부장관이었지만, 그의 국회 발언, "코미디야, 코미디" 바로 이 한 마디로, 노무현 정권의 신데렐라로 우뚝 섰다.
노무현 정권은 대권에 이어 국회권력까지 장악하기 위해, 민주당을 깨버렸으며, 한나라당을 표적으로 삼아 대선자금 수사를 감행했다. 일반 국민 입장에서야, 이런 노무현 정권의 계략을 모르니, 민주당과 한나라당 등 기존 정치권에 대한 거부감이 커질 수밖에 없었다. 이런 시기에 강금실이라는 신데렐라가 나타나서 사실 상의 정치혐오증을 부추기는 발언을 퍼부으며, 스포트라이트를 받게 된 것이다.
그는 장관직 평가에서는 거의 낙제점수를 받았다. 심지어 한 여성 검찰은 "강금실은 밥이 없으면 빵을 먹으면 되지 않나요"라고 발언한 마리 앙트와네트에 비유하기도 했다. 그 만큼 전문적인 실력도 없고, 현실적인 감각도 없으면서, 오직 정치혐오증을 부추길 수 있는 이미지 하나로 노무현의 사랑을 독차지했던 것이다.
친노들이 자기 살기 위해 강금실의 치마폭 속에 숨는 것이야 그들의 자유이다. 그러나 만약 친노들의 바람대로 강금실이 신당의 간판을 잡는다면, 아마도 가장 기뻐할 곳은 민주당일 것이며, 그 다음이 한나라당일 것이다.
2008년의 국민들은 말잘하는 세력보다는 일잘하는 세력을 뽑았다. 즉, 말이나 이미지, 이런 것 다 귀찮으니 실질적으로 일을 하는 사람들에게 표를 주겠다는 것이다. 국민들이 노무현 정권을 버린 것은 이해찬, 유시민류의 싸가지없는 행태 때문만이 아니다. 온갖 개혁적 이미지로 화려하게 포장한 뒤, 실제로는 패거리 인사 등으로 자기들끼리 해먹는 등의 거짓 정치에 신물이 났기 때문이다.
바로 강금실은 싸가지없는 부류는 아니지만, 형편없는 실력에, 이미지만으로 승부한 노무현 정권의 또 다른 실패작이다. 이런 강금실의 품 속으로 친노들이 숨겠다니, 급하긴 어지간히 급하나 보다.
ⓒ 미디어워치 & mediawatch.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