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제보 및 독자의견
후원안내

기타


배너

미디어오늘 친포털 왜곡보도 결국 언론중재위로

인터넷미디어협회, 공식 질의서에도 묵묵부답

대표적인 친노무현 - 친포털 매체 미디어오늘(대표 현이섭)의 검색사업자법 왜곡보도 건이 결국 언론중재위로 넘어갔다. 검색사업자법 입법을 주도하고 있는 한국인터넷미디어협회(회장 지민호, 이하 인미협)는 7월 11일 수요일까지, 왜곡보도 관련 공식질의에 해명할 것을 요구했지만, 미디어오늘 측은 아무런 답변도 하지 않았다.

이에, 인미협 측은 이미 미디어오늘 측의 답변이 없을 거라 예상하고, 10일 오후 언론중재위에 조정을 신청했다. 신청자 명은 인미협의 지민호 회장이고, 정정보도와 반론보도 양자 모두 청구한 것으로 알려졌다.

인미협의 변희재 정책위원장은 “법에 대한 기본 상식만 있으면, 명백한 왜곡보도라는 것은 누구나 다 알 정도이다. 언론비평을 전문으로 하는 매체가 자신들의 왜곡보도에 대한 반론을 허용하지 않는다는 건 심각한 자기 모순”이라며 미디어오늘 측을 비판했다. 전경웅 사무국장 역시 “미디어오늘이 친포털 보도로 일관한다는 건 알고 있었지만, 이런 수준일 줄은 몰랐다”며, “향후 포털 문제 해결에 미디어오늘이 이런 식의 왜곡보도로 여론을 조작할 가능성이 높으니 이번 건에 대해 원칙적으로 대응하겠다”는 입장을 밝혔다.

한편 미디어오늘은 문제의 왜곡기사, <포털 규제 법안, 과녁 맞힐까>를 여전히 ‘언론에 할말있다’페이지에 메인톱에 걸어놓고 있다. 포털의오늘 운영자 조현우 기자는 “이미 두 차례의 항의성 공식 반론문을 미디어오늘에 보냈음에도, 정정보도는커녕, 왜곡보도 기사를 메인에 걸어놓고 있다는 것은 포털 입법자들의 정당성과 명예를 실추시키려는 고의적 의도로 볼 수밖에 없다”며, “만약 미디어오늘 측이 이런 식의 대응을 고집한다면 결국 민형사 고소 고발까지 가야되지 않냐”며 강경 대응을 시사했다.

문제의 기사를 작성한 미디어오늘의 이선민 기자는 입법 주발제자이자, 공식 항의의 주체인 인터넷미디어협회를 제외한 채, 한나라당과, 김영선 의원실에 계속 법안 관련 문의를 하고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법안 발의자인 김영선 의원실은 “미디어오늘의 이선민 기자가 또 전화가 와서, 법안의 내용을 차근차근 설명해줬는데도, 전혀 이를 반영할 생각을 하지 않는다”며, “하도 답답해서 자료집에 다 있으니 알아서 읽어보라는 답을 줄 수밖에 없었다”며 이상한 취재행태를 비판했다.

또한 한나라당의 연구기관과 다른 의원실도 취재하고 있으나, 잇따른 친포털 성향의 왜곡보도로 쓴 소리만 듣고 있는 형편이다.

변희재 정책위원장은 “현재 상황에서 김영선 의원실의 검색사업자법을 가장 정확히 설명할 수 있는 사람은 인터넷미디어협회와 빅뉴스이다. 그런데 우리한테 해명하지 않고, 자꾸 한나라당의 다른 쪽을 취재하고 다니는지 모르겠다”며, “지금까지 미디어오늘의 행태로 볼 때, 결국 한나라당을 취재하면서, 법안을 왜곡설명하여, 한나라당 내의 포털 대응을 무너뜨리려는 수법이 아니겠냐”며 우려를 표명했다.

또한, 그는 “미디어오늘의 주요 콘텐츠는 남의 언론사의 기사를 비평하는 것이다. 자기 기사 하나 똑바로 쓰지 못하고, 왜곡보도 이후, 정정보도조차 내지 않는 언론사가, 남의 기사를 비평한다는 건 위험한 일”이라며, “이런 매체가 언론계 내 영향력을 행사하고 있기 때문에 한국언론이 이 지경에 이르렀을 것. 이번 기회에 미디어오늘을 완전히 바꿔내야 한다”며 미디어오늘 측을 압박했다.

한편, 미디어오늘의 왜곡보도 시점과 맞물려, 정치인 로비를 통해 입법을 저지하겠다는 입장을 밝힌 네이버 측은 인미협과의 전화통화에서, “우리가 미디어오늘 측에 법안에 대해 그런 식으로 설명한 게 아니다. 미디어오늘의 보도와 네이버의 대응이 시기적으로 맞물리면서 우리만 오해를 사고 있다”고 불만을 토로했다.



배너

배너

배너

미디어워치 일시후원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현대사상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