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머니투데이 김성호기자][한국證, 상환된 자금으로 서비스 재개..미봉책 수준]
타 금융기관 차입, 부채비율 상승 등 부작용 우려
금융감독원과 증권사들이 신용융자 급증에 따른 부작용을 막기 위해 다양한 대책을 마련 중에 있으나 쉽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11일 증권업계에 따르면 증권사들이 신용융자 급증으로 한도를 모두 소진해 전전긍긍하고 있다. 이에 각 증권사들은 대안 찾기에 적극 나서고 있으나 뾰족한 해법이 없어 고심 중이다.
얼마전 한국증권은 신용융자 한도를 모두 소진해 신용융자 서비스를 중단했으나 최근 이를 재개했다. 한국증권의 신용융자 서비스 재개가 가능했던 것은 증시가 급등으로 일부 신용융자 고객들이 차익실현에 나서면서 융자금을 상환했기 때문이다.
업계는 한국증권이 일시적으로 상환된 자금을 통해 급한 불을 껐지만 미봉책에 불과하다는 지적이다. 상환되는 자금에 비해 신용융자를 받아 주식투자를 하려는 고객들이 훨씬 많기 때문.
이에 한국증권은 신용융자로 투자할 수 있는 종목수를 줄이고 개인 한도를 낮추는 방안을 검토 중에 있으나 이 또한 증시에 찬물을 끼얹지 않을까 고민한고 있다.
일부 증권사는 신용융자 한도를 늘리는 방안을 추진 중이지만 역시 단기적 해결책에 불과하다는 지적이다. 한도를 무한대로 늘릴 수 없다보니 최근과 같은 추세로 신용융자금이 증가할 경우 금새 한도를 소진할 것이 불을 보듯 뻔하기 때문.
그나마 한도를 늘리지도 못하는 증권사들은 타 금융기관으로부터 자금을 차입해 와 신용융자 서비스를 제공하겠다는 복안이지만 이 경우 부채비율 상승으로 이어져 장외파생상품영업 등 타 영업에까지 피해를 줄 수 있는 단점이 있다.
한 증권사 관계자는 "신용융자의 만기일이 90일이다보니 7~8월이며 어느정도 숨통이 튈 수도 있을텐데, 당장 늘어나는 신용융자를 감당하기가 벅찬 상태"라며 "다양한 대책을 구상중이지만 대부분 미봉책에 그치고 있는 현실"이라고 토로했다.
금감원도 똑 부러지는 해결책을 못 내놓기는 마찬가지다. 더욱이 업계의 우려에도 불구하고 미수거래를 잠재우기 위해 무리하게 신용거래를 활성화 시켜놓은 만큼 금감원 입장에서 또다시 신용거래제도에 메스를 가하기가 쉽지 않을 것이라는 게 업계의 판단이다.
이에 대해 금감원 관계자는 "각 증권사로부터 한도관리 등 신용융자 서비스에 대한 실태조사를 벌이고 있는 상태"라며 "결과가 나오는대로 구체적인 대책을 수립할 방침"이라고 말했다.
김성호기자 shkim03@
<저작권자 ⓒ '돈이 보이는 리얼타임 뉴스' 머니투데이>
ⓒ 미디어워치 & mediawatch.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