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제보 및 독자의견
후원안내 정기구독 미디어워치샵

기타


배너

[머니투데이 김익태기자]고유가가 지속되고 있는 가운데 올 여름이 예년보다 무더울 것으로 예보되면서 전련 수급에 비상이 걸렸다.

특히 올 여름 전력 수요량이 사상 최고치를 기록할 것으로 전망돼 정부가 대책 마련에 나섰다.

산업자원부는 11일 김영주 장관 주재로 '여름철 전력수급 대책회의'를 개최했다.

산자부에 따르면 올 여름 최대전력수요는 지난해보다 4.3% 증가한 6150만kW로 사상 처음 6000만kW를 넘을 것으로 예상된다.

이는 최근 10년간 피크일 최고기온 32.5℃, 즉 정상기온을 적용한 수치로 지난해 최고치인 5899만㎾보다 250만kW 많은 규모다.

특히 정상기온 대비 2℃ 높은 이상고온이 발생하면 최대 전력수요는 6346만㎾까지 치솟을 것으로 전망된다.

공급능력은 지난해에 비해 3.6% 증가한 6754만kW로 600만kW 수준의 예비전력을 확보했다.

산자부는 그러나 전력수급 안정을 위해 공급용량을 최대한 확대하는 반면 전력사용은 최대한 절감하는 방안을 마련키로 했다.

우선 전력사용 감축목표를 지난해보다 58만kW 상향조정한 총 589만kW로 잡았다.

이를 위해 피크 발생 가능성이 높은 7월19~27일, 8월6~17일 휴가보수·자율절전 등 지원금제도를 실시해 총 282만kW의 수요를 절감키로 했다.

부하관리기기, 고효율기기 보급을 통해서는 총 307만kW의 피크를 절감키로 했다.

지난해 아파트 단지를 대상으로 시작했던 '에너지(-), 사랑(+) 캠페인'도 대형 오피스 건물 등으로 확대하기로 했다.

대규모 전력설비의 동시다발적인 고장에 대비하기 위해 직접부하제어, 비상절전제도 등 비상시 동원가능한 수요관리자원도 400만kW 이상 확보할 계획이다.

한편 산자부는 7월 9일~8월 31일 산자부내 '전력수급대책본부'를, 한국전력에는 '비상수급대책본부'를 운영, 여름철 전력수급 상황을 면밀히 점검키로 했다.



김익태기자 epping@
<저작권자 ⓒ '돈이 보이는 리얼타임 뉴스' 머니투데이>



배너

배너

배너

미디어워치 일시후원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현대사상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