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는 미국 사상 최악의 교내 총격사건으로 기록된 버지니아공대 총기 난사 사건의 범인이 17일 한국 교포 학생으로 확인된데 대해 충격과 경악을 금치 못하고 있다.
특히 이번 일이 교민사회에 미칠 파장을 우려하는 한편 자칫 미국 내에서 반한 감정을 일으켜 인종 간 갈등상황으로 번지는 상황으로 전개되지 않도록 하는데 총력을 기울이는 모습이다.
정부는 이날 새벽 총기난사 사건이 발생할 때만 해도 한국인 희생자가 경상자 1명에 그쳤다는 소식에 다소 안도하는 한편 권태면 주 워싱턴 총영사를 반장으로 하는 긴급대책반을 구성하고 현지에 직원을 파견해 정확한 한인 피해 상황을 파악하는 데 주력했다.
그러나 범인이 아시아계라는 소식이 전해지면서 설마했던 분위기는 오후 4시께 미국 국토안보부가 범인이 한국계 영주권자인 것으로 믿고 있다는 정보와 함께 구체적 신원을 알려오면서 말그대로 충격으로 돌변했다.
곧바로 송민순 외교통상부 장관 주재로 비상대책회의가 소집됐고 심윤조 차관보를 반장으로 하는 긴급대책반이 구성되는 등 상황은 긴박하게 돌아갔다.
언론의 빗발치는 문의에 대응하지 않으며 마지막 순간까지 한국인이 아니길 바랐던 정부는 결국 오후 10시25분께 미국 경찰 당국이 범인을 한국교포 학생인 조성희로 발표하자 침통한 모습을 감추지 못했다.
조병제 외교부 북미국장은 긴급 브리핑을 통해 희생자와 유족에 심심한 위로의 뜻을 전하며 교민의 안전대책을 시행 중에 있다고 밝혔다.
정부 당국자는 "어디까지나 개인에 의해서 미국에서 아주 오래 거주한 한국계 사람에 의해서 아주 하나의 개별적인 사안으로 생긴 일이라고 생각한다"면서 "어떠한 경우에도 인종적 편견이랄까, 갈등이랄까 하는 측면에서 부각되는 것을 원하지 않고 또 그렇게 되지 않으리라고 생각한다"고 말해 파장을 최소화하는데 주력하는 모습이었다.
이 당국자는 "미국에서 관련 사항을 전달해 왔을 때도 이 문제를 국가와 국가 문제로 확대해석하는 모습은 보이지 않았다"고 덧붙였다.
외교부는 북미국과 재외동포영사국이 공동으로 상황실을 운영하며 관련 사항을 계속 점검하고 있다.
정부는 18일 오전 한덕수 총리 주재로 국정현안정책조정회의를 열어 관련 대책을 논의할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서울=연합뉴스)
transil@yna.co.kr
dhsuh519@yna.co.rk
ⓒ 미디어워치 & mediawatch.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