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제보 및 독자의견
후원안내 정기구독 미디어워치샵

기타


배너

미국 언론, 북핵 '60일 시한' 경과에 주목

"2.13 합의 붕괴상황인지는 불투명"



미국 언론은 15일 북한의 무 반응속에 지난 14일의 2.13 북핵 합의 '60일 시한'이 경과한 것을 주요 뉴스로 보도했다.

워싱턴 포스트(WP)가 이날 '60일 시한' 경과에 대해 미국 관리들이 애석해하고 있으나 이를 2.13 합의의 궤도 이탈로는 보지 않고 있다는 점을 강조한 반면, 뉴욕 타임스(NYT)는 조지 부시 대통령이 방코델타아시아(BDA) 자금 반환을 실책이라며 비판해온 미국내 강경파들의 공격으로 부터 취약해졌다고 보도했다.

WP는 미 행정부 관리들이 북한이 지난 14일의 시한을 지켜주길 기대했지만 그 같은 기대가 비현실적이었던 점을 인정했다고 보도, 이번의 시한 경과가 반드시 북한의 탓만이 아닌 점을 주목했다.

이 신문은 마카오의 금융당국이 지난 11일 북한에 대해 BDA의 북한 자금을 자유롭게 인출할 수 있다고 발표한 것을 지적하면서 "이는 북한으로 하여금 시한 마감 3일 동안 자금을 빼낸 뒤 원자로 폐쇄를 위한 조치를 취함으로써 시한을 지키라고 한 것" 이라고 풀이했다.

이 신문은 이어 미 관리들은 "그러한 상황이 현실적이지 않다고 인정하면서도 북한이 최소한 국제 원자력 기구 사찰단 초청과 같은 합의 이행에 대한 긍정적 제스처를 취해주길 기대했다"고 전했다.

한편 NYT는 영변 원자로 폐쇄를 위한 첫 시한이 북한의 아무런 조치 없이 만료됐음을 지적하면서 "중국 관리들은 분노한 미 관리들에게 인내심을 보일 것을 요구했다"고 보도했다.

이 신문은 중국을 방문중이던 크리스토퍼 힐 국무부 차관보에게 중국측은 북한에 좀 더 시간을 허용하도록 촉구했다고 전하고 "그러나 워싱턴의 미 관리들은 중국이 북한의 합의 시행이 임박했다는 어떠한 징후를 갖고 있는지 여부는 알지 못한다고 말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이 신문은 특히 BDA 자금 반환을 부시 행정부의 정책 번복이자 유엔 결의에 반하는 것이라고 비난해온 미기업연구소 니컬러스 에버스탯 연구원의 말을 인용,"북한은 부시 행정부에 대해 지속적이고 모욕적인 '정책의 번복'을 강요할 수 있을 것"이라고 전했다.

한편 로스앤젤레스 타임스는 시한 경과가 2.13 합의의 붕괴 임박을 뜻하는 것인지는 불확실하다고 말했다.

이 신문은 이어 빌 리처드슨 뉴멕시코 주지사가 전화 인터뷰에서 "북한은 돈을 받는대로 국제원자력기구 사찰관들을 불러 들이고 원자로 시설 폐쇄를 시작할 것으로 밝혔다"면서 "북한이 약속을 지킬 것으로 본다"고 말했다고 전했다.


(워싱턴=연합뉴스)
nhpark@yna.co.kr



배너

배너

배너

미디어워치 일시후원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현대사상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