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은 남북한이 화해와 협력, 관계 개선을 통해 평화적인 통일을 실현할 수 있도록 계속해서 지지하겠다는 입장을 천명하기로 했다.
이와 함께 한국과 중국은 해군과 공군간 핫라인을 설치하는 한편 서해상에서 선박이나 항공기 사고가 발생했을 때 긴급 대응하기 위한 합동 해상수색구조 훈련도 실시한다.
중국 정부 소식통은 오는 10일 한국을 공식 방문하는 원자바오(溫家寶) 중국 총리가 노무현 대통령과 정상회담을 갖고 이런 내용을 담은 공동성명에 서명할 예정이라고 4일 밝혔다.
익명을 요구한 이 소식통은 "중국측은 한반도 남북 쌍방의 화해협력과 관계개선 및 최종적인 평화통일 실현을 계속해서 변함없이 지지할 것을 재천명하기로 했다"고 말했다.
그는 "이에 대해 한국측은 중국 정부가 전체 중국을 대표하는 유일한 합법 정부라는 것을 인정하고 하나의 중국과 대만 독립에 반대한다는 입장을 약속하기로 했다"고 말했다.
소식통은 또 "한국과 중국이 군사협력의 초기단계인 핫라인을 설치하기로 했다"면서 "이번 핫라인은 해군과 공군에 각각 개설해 돌발사태가 발생할 경우에 활용될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이와 함께 "양국은 서해상 선박이나 항공기 사고에 대응하기 위한 '해상 공동 수색 구조에 대한 협정'도 체결하기로 했다"면서 "빠르면 올해 안에 훈련이 가능할 것"이라고 말했다.
한국과 중국의 핫라인 설치와 합동 해상수색구조훈련 실시는 양국간 핵심 현안이었으나 중국은 혈맹 관계인 북한을 의식해 원칙적인 공감만 표시하며 지금까지 결정을 미뤄왔다.
이와 관련, 중국 전문가들은 '2.13 합의' 이후 북미 관계가 빠르게 해빙될 조짐을 보이고 있다면서 중국도 대응책으로 한국과의 군사외교적 관계를 강화하려 하고 있다고 분석했다.
이 소식통은 또 "한중 양국은 연간 교역 규모 2천억달러 달성 목표를 조속히 실현하기로 했으며 특히 한중 자유무역지대 설치를 위한 산학연 공동연구도 추진하기로 했다"고 말했다.
그는 이어 "한중 양국은 교역이 확대 균형을 실현하도록 적극 추진하기로 했다"면서 "이를 위해 한국측은 중국에 대해 지속적으로 물품구매단을 파견하기로 약속했다"고 전했다.
(베이징=연합뉴스) yskwon@yna.co.kr
ⓒ 미디어워치 & mediawatch.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