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미FTA 체결이 임박하자 일본이 긴장하고 있다.
미국 시장에서 우리나라가 일본보다 경쟁력 우위에 서면 일본 경제에 심각한 타격이 우려된다는 지적이다. 일본 산업의 공동화까지 우려할 정도다. 하타케야마 노보루 국제경제교류재단회장은 최근 아사히신문에 '자유무역협정, 농업개혁 한국에 뒤지지 마라'는 제목의 기고를 내고 이같이 주장했다.
하타케야마 노보루 회장은 통산성과 총리비서관, 자원에너지청 석유부장, 무역국장, 통산산업 심의관을 역임했고, 일본무역진흥회 이사장을 역임한 통상 전문가다.
하타케야마 회장은 "한국정부가 한미FTA체결의 결실을 맺기 직전이고, 4월부터 EU와 FTA협상에 돌입할 것"이라며 "이렇게 되면 일본 경제에 미치는 영향이 막대하다"고 지적했다.
그는 "한국제품이 거대한 미주 시장에 무관세로 들어가고, 일본 제품은 평균 4%내외의 관세를 지불하게 된다"며 "일본 기업 중 한국으로 공장을 이전하는 경우도 생겨 일본 경제는 공동화가 초래될 것"이라고 경고했다.
한국의 농산물 시장 개방 움직임에 대해서도 높이 평가했다.
하타케야마 회장은 "미국이 내건 농산물 자유화 교섭에 한국이 응했다는 자체가 한국 통상정책의 변화를 의미한다"며 "반면 일본은 농산물 자유화를 주문하는 일미FTA에 응하지 않는 등 농수산물 자유화를 이행하지 않아 FTA가 다른 국가보다 늦다"고 분석했다.
그는 일본이 통상 정책에 실패해 정체되고 아시아에서 짐스러운 존재로 전락할 수 있다고 경고했다.
무역협회 관계자는 "일본이 한미FTA 체결에 긴장할 만큼 한미FTA가 한국 경제에 가져올 이점은 크다"며 "반대로 일본이 우리보다 앞서 미국과 FTA를 체결하면 거대한 미국 시장을 잃을 수 있는 만큼 한미FTA 체결을 서둘러야 할 것"이라고 밝혔다.
xpert@
<저작권자 ⓒ '돈이 보이는 리얼타임 뉴스' 머니투데이>
ⓒ 미디어워치 & mediawatch.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