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제보 및 독자의견
후원안내

기타


배너

무차별 주민번호 수집 ARS사기 극성

"신용카드 연체됐다"속이고 주민번호 요구…범죄 악용 가능성, 소비자 주의 필요



# 마산에 사는 강 모씨는 최근 자동안내전화(ARS)로 서울 모 백화점에서 강씨의 카드로 190만원이 결제됐다는 안내를 받았다. 카드를 분실한 적이 없는데 이런일이 있을 수 없다고 생각한 강씨는 자세히 알아보기 위해 ARS가 알려준 번호로 전화를 걸었더니 이번에는 주민등록번호를 입력하라고 했다. 시키는대로 주민등록번호를 눌렀더니 별 다른 내용이 없이 전화가 끊어졌다.

# 안양에 사는 이 모씨는 한 은행의 ARS를 통해 신용카드 대금이 156만원 연체됐다고 연락을 받았다. ARS로 은행 안내직원과 연결해 물어보니 이씨의 이름으로 발급된 카드가 연체됐다며 자세한 내용 확인을 위해 본인의 주민등록번호를 불러주면 내용파악후 연락해 주겠다고 한다. 전화를 끊고도 연락이 오지 않아 해당은행에 전화를 걸어보니 이씨의 이름으로 발급된 카드는 없으며 은행에서 이씨에게 전화를 건 일도 없다고 한다.

최근에 ARS 전화로 신용카드회사나 은행을 가장해 소비자들의 주민등록번호를 무차별적으로 수집하는 사례가 이어지고 있다. 주로 신용카드가 연체됐다고 하거나 사용내역을 알려주겠다며 소비자를 유인하는 것이다.

녹색소비자연대는 23일 "최근 ARS를 통해 주민번호를 알려주고 난 뒤 사기를 당한 것 같다는 소비자들이 불안을 호소하는 사례가 급증하고 있다"며 "소비자들은 은행이나 신용카드사라며 주민등록번호를 요구하는 사기성 전화에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고 당부했다.

녹샌소비자연대는 "이런 전화는 주로 소비자의 주민등록번호를 수집하는 일종의 보이스 피싱의 가능성이 높다"며 "아직 주민등록번호를 불러준 것으로 금전적 피해를 입은 사례는 접수되지 않았으나 피해에 노출될 우려가 상당히 높다"고 강조했다.

우리나라의 주민등록번호 13자리 숫자는 대한민국 국민 한 사람에게만 부여되는 고유번호이다. 이 때문에 주민번호만 있으면 간단한 프로파일링을 통해 개인에 대한 모든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각종 범죄나 금전적 피해를 입히는데 다른 사람의 주민번호를 첫번째 매개수단이 될 수 있다는 것이다.

이 때문에 개인의 주민번호는 인터넷이나 암시장을 통해 거래되기도 하는 실정이다.

따라서 소비자들이 스스로 쉽게 주민등록번호를 노출시키지 않도록 주의를 해야 한다는 것이 녹색소비자연대의 당부이다.

이런 사례에 대해 정보통신부는 "아직 주민번호 수집으로 인한 피해사례는 접수된 것이 없지만 현재 우리나라 상황에서 주민번호는 범죄에 악용될 수 있는 소지가 충분하다"며 "개인이 다른사람에게 주민번호를 알려주는데 신중을 기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cafe9@
<저작권자 ⓒ '돈이 보이는 리얼타임 뉴스' 머니투데이>



배너

배너

배너

미디어워치 일시후원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현대사상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