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욕타임스(NYT)는 15일 북핵 협상이 한국을 자유롭게 한 반면 일본의 입지는 좁게 만들었다며 한.일이 다른 길을 가고 있다고 보도했다.
신문은 협상 타결 다음 날 한국 정부는 작년 10월 북핵 실험 이후 중단됐던 남.북 장관급 회담을 재개할 것을 제안, 15일 개성에서 회의를 열기로 한 반면 일본 정부는 납북자 문제 미해결을 이유로 대북 지원을 거부한 것에 대한 여.야의 비난을 받고 있다며 이같이 다뤘다.
신문은 북핵 협상 이후 한국 정부는 북한과의 경제.외교적 포용정책을 재개하려는 모습을 보이고 있고, 이번 협상이 오는 12월 한국의 대통령 선거에서 보수적인 야당이 승리하더라도 정책을 바꾸기 어렵게 만들었다고 평가했다.
신문은 이에 반해 일본은 납북자 문제 때문에 대북 지원을 거부함으로써 외국의 동조를 받기 어려운 국내 이슈로 지역정세 안정을 위험에 빠뜨렸다는 비난을 받게 될 수 있다며 편협한 시각이 일본을 고립시킬 수 있다는 비판도 제기되고 있다고 전했다.
신문은 일본 정부가 납북자 문제를 이번 합의문에 따라 설치될 북.일관계 정상화 실무그룹에서 논의하기를 희망한다고 밝히고 있지만 납북자 문제에 관한 강조는 일제 강점에 대한 보상문제 등 역사와 관련된 북한의 수많은 불만만 야기시킬 것이라고 예상했다.
신문은 북한 외무성의 리평덕 일본 담당 연구관이 교도통신과 한 인터뷰를 인용, 실무그룹 논의에서 북한의 현안은 일제 강점기에 이뤄진 범죄 문제의 해결이 될 것이고 이 문제의 해결 없이 북.일 관계 정상화는 없을 것이라고 말했다고 전했다.
(뉴욕=연합뉴스) june@yna.co.kr
ⓒ 미디어워치 & mediawatch.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