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제보 및 독자의견
후원안내

기타


배너

UCC 상업화 정부가 지원한다

정통부,3월까지 종합지원책 마련..부작용 방지대책은 "미흡"



인터넷 이용자들이 만든 손수제작물(UCC)을 상업화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종합대책이 나온다.

정보통신부는 산업계·학계와 공동으로 건전하고 창조적인 UCC의 개발과 관련 산업 활성화를 지원하기 위한 UCC 활성화 종합대책을 3월말까지 마련하겠다고 12일 밝혔다.

양준철 미래정보전략본부장은 "UCC가 이제 막 싹을 틔워가고 있는 새로운 유형의 콘텐츠이고 상업화의 기회를 만들고 있다"며 "3월에 마련할 종합대책은 건전한 UCC를 육성하고 사업화를 지원하는 방향에 초점을 맞췄다"고 설명했다.

양 본부장은 "UCC에 대한 부정적 이미지가 많지만 부정적 부분에 초점을 맞추면 이제 막 싹을 틔우는 산업을 저해할 수 있는 우려가 있어 우선 건전한 UCC를 활성화시켜 불건전UCC를 억제하는 방향으로 정책을 추진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정통부는 우선 'UCC 제작자 포럼‘을 구성해 운영을 지원하고 '좋은 UCC상’을 제정해 다양한 분야의 준전문가들이 양질의 UCC를 만들어 내도록 지원할 계획이다.

또 대용량 동영상 기반 UCC 데이터를 효율적으로 전송하는 분산 컴퓨팅 플랫폼을 개발해 UCC제작자들이 사업적으로 이용할 수 있도록 지원키로 했다. 여기에 정부는 80억원의 예산을 투입할 예정이다.

그러나 UCC의 상업화와 건전한 UCC에 대한 지원 강화와 함께 UCC의 부작용을 취소화할 수 있는 대안도 본격 마련해야 한다는 지적도 많다.

정통부가 지난해 6월부터 12월말까지 1291건의 UCC를 심의해 1282건에 대해 음란성UCC라는 결론을 내리고 해당 사이트 운영업체에 삭제를 요구할 만큼 UCC의 불건전성에 문제가 제기됐는데도 이에 대한 대책을 마련하지 않은 채 상업화에만 지원정책을 내놓는 것이 UCC로 인한 부작용을 급속히 확산시킬 우려가 있다는 것이다.

정통부가 마련한 UCC 부작용 대책은 정보통신윤리위원회에 모니터링센터를 운영해 UCC에 대한 심의를 강화한다는 것이 전부이다. 또 저작권 문제에 대비할 수 있도록 내년부터는 UCC에 워터마킹이나 핑거프린팅 등을 도입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는 수준이다.


cafe9@
<저작권자 ⓒ '돈이 보이는 리얼타임 뉴스' 머니투데이>



배너

배너

배너

미디어워치 일시후원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현대사상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