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제보 및 독자의견
후원안내

기타


배너

중소기업들이 세무·회계나 전사적자원관리(ERP)등 값비싼 소프트웨어(SW)를 직접 구매하지 않고 값싸게 빌려쓰고 관리도 받을 수 있는 ASP(응용SW 임대)용 SW개발과 관리사업에 올해 정부예산 55억원의 지원된다.

정보통신부는 지난해에 이어 올해도 중소기업용 ASP 솔루션 개발, 중소기업경영진 정보화 교육 및 ASP 홍보활동 등을 지원하기로 하고 예산 55억원의 책정했다고 25일 밝혔다.

특히 올해는 지난해에 없던 새 사업으로 ASP 솔루션 개발업체들이 공동으로 이용할 수 있는 개발도구를 지원하고 공동 ASP지원센터를 운영하기로 했다.

이렇게 해야 ASP용 SW를 개발하는 중소SW 업체들이 개발비용 부담 없이 품질 좋은 SW를 개발할 수 있게 되고 결과적으로 중소기업 정보화에 활력을 불어넣을 수 있게 된다는 것이 정통부의 판단이다. 특히 중소SW들이 데이터 백업이나 보안 분야, 사용자에 대한 사후관리 분야에 상대적인 취약점을 보이고 있어 이에 대한 지원을 강화하겠다는 것이다.

정부가 예산을 지원할 사업별 추진일정과 지원내용 등 자세한 사항은 2~3월 중 한국정보사회진흥원 홈페이지(www.nia.or.kr)를 통해 공고된다.

한편 정통부는 자금과 전문인력의 부족으로 자체 정보화시스템 구축이 어려운 중소기업 정보화를 위해 지난 2001년부터 지속적으로 ASP 확산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이를 통해 지난해까지 73만여 중소기업에 ASP 서비스가 보급됐으며 이들의 투자대비 효과는 약 297%로 비용절감과 업무효율성 향상에 큰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 ASP 시장규모도 2005년 1891억원 이었던 것이 2006년에는 25%나 늘어난 2366억원 시장을 형성했다.

정통부는 "중소기업 정보화 수요와 ASP 산업간 선순환 발전 토대가 마련된 것으로 보인다"며 "그간의 이용 확산추세와 정부정책에 힘입어 ’08년말까지 ASP 방식에 의한 100만 중소기업 정보화 달성은 물론, 관련 산업 활성화도 순조롭게 진행될 것"이라고 기대했다.

ASP(Application Service Provider)이란 네트워크를 통해 SW를 임대하고 관리받을 수 있는 서비스 방식으로 서비스 이용자는 높은 구입비용 대신 특정 서비스 요금만 지급하고 사용할 수 있어 별도의 유지보수 비용, 관리인력 등을 줄일 수 있도록 하는 서비스 이다.




cafe9@
<저작권자 ⓒ '돈이 보이는 리얼타임 뉴스' 머니투데이>



배너

배너

배너

미디어워치 일시후원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현대사상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