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제보 및 독자의견
후원안내

기타


배너

"과목편식 막고 예체능 균형교육" vs "학습부담 가중"

(서울=연합뉴스) 이윤영 기자 = 교육인적자원부가 12일 공청회를 통해 밝힌 초
ㆍ중등 교육과정 개정안 가운데 고교 선택과목군을 현행 5개에서 7개로 확대한다는
방안이 논란을 낳고 있다.
선택과목군을 확대하면 그만큼 반드시 이수해야 할 필수과목도 늘어나 학습 부
담이 가중된다며 일부 학생과 학부모들이 반발하고 있기 때문이다.
15일 교육부의 제7차 초ㆍ중등 교육과정 개정안에 따르면 현재 인문ㆍ사회군,
과학ㆍ기술군, 예ㆍ체능군, 외국어군, 교양군 등 5개로 구분돼 있는 고교 2, 3학년
의 선택과목군이 2012년부터 국어ㆍ도덕ㆍ사회군, 수학ㆍ과학군, 기술ㆍ가정군, 체
육군, 음악ㆍ미술군, 외국어군, 교양군 등 7개로 확대된다.
기존의 5개군 가운데 과학ㆍ기술군을 수학ㆍ과학군, 기술ㆍ가정군 등 2개로, 예
ㆍ체능군을 체육군, 음악ㆍ미술군 등 2개로 각각 세분화한 것이다.
이에 따라 학생들이 반드시 이수해야 할 필수과목은 현재 6개에서 8개로 2과목
늘어난다. 과목군별로 1~2과목 이상은 반드시 이수하도록 한 데 따른 것이다.
현재는 과학ㆍ기술군에서 1과목, 예ㆍ체능군에서 1과목을 선택해 이수하면 되지
만 2012년부터는 수학ㆍ과학군에서 1과목, 기술ㆍ가정군에서 1과목, 체육군에서 1과
목, 음악ㆍ미술군에서 1과목을 이수해야 한다.
이에 대해 학생과 학부모 일각에서는 "학생들의 학습 부담을 가중시킨다"며 반
발하고 있다.
올해 고3이 된다는 한 학생은 교육부 홈페이지에 올린 항의글에서 "지금도 수업
일수가 충분히 벅찬데 과목수를 늘린다면 도대체 아이들은 어찌하란 말이냐. 과목수
가 늘어나면 자율적으로 공부할 시간은 줄어들 수 밖에 없다"고 불만을 토로했다.
중3에 올라간다는 학생은 "음악ㆍ미술 등의 지식은 일상생활에서 쓰이지도 않을
뿐 아니라 시험 때 외우고 나면 바로 잊어버린다. 전혀 필요성을 느끼지 못하는 과
목을 왜 필수과목으로 지정하느냐"며 반발했다.
학교를 사랑하는 학부모 모임 최미숙 상임대표는 "교육과정 개정이 교사들의 자
리를 마련해주기 위한 방향으로 흘러가고 있다"며 "그러잖아도 수능, 내신, 논술 등
`죽음의 트라이앵글'로 아이들이 힘들어하고 있는데 필수과목까지 늘리면 그 부담을
어찌 다 감당하느냐"고 지적했다.
반면 교육부는 선택과목군 확대가 입시위주 교육에 밀려 수능과 연관있는 과목
에만 아이들의 선택이 몰리고 예ㆍ체능 등 일부 과목은 고사 위기에 있는 등 학업
편중현상을 해소하기 위한 불가피한 조치라고 해명했다.
교육부 교육과정정책과 김대원 교육연구관은 "체육, 음악, 미술 등은 입시에 시
달리고 있는 아이들에겐 오아시스 같은 과목이다. 특히 체육의 경우 그동안 필수과
목에서 빠지면서 아이들의 체력 저하 등 건강 문제가 늘 지적돼 왔던 점에 비춰 학
생들에게 꼭 필요하다"라고 말했다.
필수과목 수 역시 현재 6개에서 8개로 2과목 늘어나는 것이고 이 역시 주로 예
ㆍ체능 과목이기 때문에 아이들에게 그리 큰 부담은 아니라는 것이 교육부 입장이다.
김 교육연구관은 "고교 2, 3학년이 이수하게 될 과목은 22과목, 학년당 11과목
정도로 지금과 같고 이중 필수과목만 2개 늘어나는 것이다. 예체능 과목 내신을 반
영하는 대학이 거의 없기 때문에 부담이 크게 늘어난다고 볼 수 없다"고 덧붙였다.
yy@yna.co.kr
(끝)


<모바일로 보는 연합뉴스 7070+NATE/ⓝ/ez-i>
<저작권자(c)연합뉴스. 무단전재-재배포금지.>



배너

배너

배너

미디어워치 일시후원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현대사상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