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부-학술진흥재단 `인문한국' 사업 실시
대학가에서 갈수록 외면당하고 있는 인문학 진
흥을 위해 올해 정부에 인문학 장기지원 프로젝트인 `인문한국'(Humanities Korea)
사업이 신설되고 200억원의 예산이 지원된다.
인문한국 사업은 교육인적자원부가 한국학술진흥재단에 위탁해 실시하는 것으로
단기지원이 아닌 중장기적 인문학 연구과제 지원을 목적으로 마련됐다고 교육부 관
계자가 9일 밝혔다.
이 사업은 크게 ▲인문학적 문제 연구 ▲지역연구센터 설립 등 두 분야로 나뉘
어 실시되며 각각 100억원 가량씩 지원된다.
인문학적 문제 연구 지원사업은 정부가 직접 연구주제를 주고 연구자를 공모한
뒤 연구비를 지원하는 `탑다운'(Top-down) 방식의 사업이다.
이를 위해 학계 전문가들로 구성된 `인문한국위원회'가 구성될 예정이며 이 위
원회는 정부를 대신해 연구주제를 설정하고 정부정책에 자문하는 등의 역할을 하게
된다.
교육부는 학술진흥재단을 통해 6월께 사업계획을 공고한 뒤 지원 대상 연구자들
을 선정해 9월부터 본격적인 연구에 들어갈 수 있도록 한다는 계획이다.
교육부 노환진 학술진흥과장은 "기존의 인문학 연구지원 사업이 1년 가량의 단
기지원, `소액다건'식 지원이었다면 이번 사업은 3~5년의 중장기, 다액지원이라는
게 가장 큰 특징이다"고 설명했다.
지역연구센터 설립 지원 사업은 아프리카, 중동, 남미, 인도 등 해외 여러 지역
의 언어, 문학, 풍습 등 문화 전반을 전문적으로 연구하는 기관을 각 대학에 설치해
운영 및 연구비를 제공하는 프로그램이다.
이는 지금까지 국내 연구기관들이 주로 외국의 정치ㆍ경제 분야 연구에만 집중
하고 언어, 인문학적 배경 등 문화 전반에 대한 심도있는 연구는 소홀히 해 결과적
으로 기업 해외진출 실패 등 시행착오를 겪어왔다는 판단에 따른 것이다.
교육부는 3월께 사업공고를 통해 대학들로부터 지역연구센터 설립 신청을 받아
평가ㆍ심사한 뒤 올해 10여 곳의 연구센터가 문을 열 수 있도록 지원할 계획이다.
노 과장은 "지난해 `인문학 위기'가 이슈화되면서 학계가 인문학 진흥방안을 강
력히 요구한 데 대해 이제 정부가 답을 할 차례다. 올해를 시작으로 `인문한국' 사
업을 지속적으로 실시해 예산 규모와 지원분야를 점차 늘려가겠다"고 말했다.
(서울=연합뉴스) 이윤영 기자 yy@yna.co.kr
ⓒ 미디어워치 & mediawatch.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