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제보 및 독자의견
후원안내 정기구독 미디어워치샵

미디어워치 (국내언론)


배너

신영복 지인의 증언 “한겨레기사 보고 소름끼쳤다”

신영복 교수의 ‘석과불식’ 요체는 “사람을 키우는 일”…“계급의식 주입시켰던 신영복의 ‘사람 키우는 일’이 의미하는 것이 무엇일지...”

통혁당 장기수 출신 고 신영복 성공회대 교수에 대한 우리 사회 일각의 추모 분위기가 지나치다는 비판이 거센 가운데 신 교수와 오래 교류했던 한 지인이 24일 자신의 SNS를 통해 이 같은 현상을 비판했다.

특히 그는 한겨레신문의 <신영복, 그는 본디 붉은 경제학자였다> 등의 일부 기사를 지적하며 “2012년 경 쓰여졌다는 위의 서화 ‘석과불식’과 그 말에 담긴 신 교수의 설명을 어제 SNS에 올라온 한겨레 기사를 통해 처음 보고는 소름이 끼쳤다.”고 했다.



A씨는 신 교수와 가까이 지내면서 그를 많이 따랐다고 고백했다. 그러다 어느 시점에서 전향하지 않은 그의 이데롤로그 실체를 간파하고 이후로 만남을 자제했다고 밝혔다.

A씨는 신 교수가 자주 인용하던 주역의 산지박(山地剝)괘에 대해선 다음과 같이 설명했다.

그는 “주역의 산지박 괘에 대한 그의(신영복) 설명은 바로 그가 왜 감옥에서 전향서를 쓰고서도 전향하지 않았는지, 혁명을 같이 시도하다가 여러 동지들이 사형을 당했으나 자신에게 맡겨진 혁명과업의 완수를 위해 자신이 취해온 행동들, 즉 전향서를 쓰고서 감형받고 살아남은 이유와 경위, 그 정당성을 변명하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생전 신영복 교수는 자신의 강의 내용 등을 정리해 ‘인문학 특강’을 중심으로 엮어 낸 <담론>-‘신영복의 마지막 강의’ 책에서 석과불식에 대해 주역의 ‘산지박괘’와 ‘지뢰복괘’를 끌어와 “최고의 인문학”이라고 치켜세웠다.

신 교수는 “씨 과일은 새봄의 새싹으로 돋아나고, 다시 자라서 나무가 되고, 이윽고 숲이 되는 장구한 세월을 보여준다. 한 알의 외로운 석과가 산야를 덮는 거대한 숲으로 나아가는 그림은 생각만 해도 가슴 벅차다. 역경을 희망으로 바꾸어내는 지혜이며 교훈이다.”라고 설명했다. 석과불식의 요체가 “사람을 키우는 일”이라는 것이다.

A씨는 “산지박의 근거의 맨 위 양효에 해당하는(즉, 큰 과실에 해당하는)괘를 자신에 비기고, 그간 자신이 수많은 인고의 세월동안 얼마나 많은 붉은 색의 전사들을 키워내 왔는지, 그것이 변혁운동에서 혁명역량의 저변확대에 얼마나 큰 기여를 하였는지를 자부함으로써 당시 종북좌파 내부에서 거세게 일어나고 있던 요구, 즉 이젠 사색 그만하고 현실 변혁운동에 적극 동참하라는 요구를 거절하는 논리로 개발한 것이 바로 저 석과불식이었다고 생각된다.”고 설명했다.

한편, 박한명 시사미디어비평가(미디어내일 대표)는 25일 칼럼을 통해 신영복 교수를 포섭한 인물인 통혁당 사형수 김질락의 옥중수기를 근거로 “옥중수기에는 신영복이 김질락에게 이런 말을 하는 대목이 나온다. “...그래서 무척 조심했습니다. 다 걸리지 않게 쓰는 방법이 있지요. 외견상으로 볼 때 누가 봐도 저는 순수한 자유주의자죠. 학생들에게 강의할 때 될 수 있는 대로 쉽고 재미나는 말로 계급의식을 주입시키지요....””라고 쓰인 대목을 언급한 뒤 “이렇게 위험하지 않고 안전하게 학생들에 사상교육을 했던 신영복에게 대중을 현혹하는 글재주, 말재주가 있었음을 볼 때 그가 말하는 ‘사람을 키우는 일’이 무엇이었는지는 더더욱 알 수 없는 노릇”이라고 의미심장하게 꼬집었다.

미디어내일 박주연 기자 phjmy9757@gmail.com



배너

배너

배너

미디어워치 일시후원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현대사상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