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제보 및 독자의견
후원안내 정기구독 미디어워치샵

사이언스워치 (과학/의학)


배너

금연하려고 침을 맞겠다고?

침술이 금연에 효과적이라는 어떤 믿을만한 과학적 근거도 없다!


본 콘텐츠는 '과학중심의학연구원(http://www.i-sbm.org)'이 제공하는 공익콘텐츠입니다. 이번 글은 영국의 저명한 EBM 대체의학 전문가인 에드짜르트 에른스트(Edzard Ernst)의 글 'Acupuncture for smoking cessation?'를 번역한 것입니다. 서범석 과학중심의학연구원 홍보특보가 번역하였으며, 황의원 과학중심의학연구원 원장이 편집하였습니다


(Acupuncture for smoking cessation?)



우리 중 대부분은 흡연이 건강에 해롭다는 것을 알고 있다고 나는 생각한다. 그런데 왜 여전히 많은 사람들이 담배를 태우고 있을까? 그 이유는 흡연이 매우 ‘중독(中毒, addiction)’적인 행위이기 때문이다. 그리고 ‘중독’이라는 말 뜻 자체가 ‘중독된 무언가’에서 벗어나기 어렵다는 것을 내포하고 있다.

현재 많은 흡연자들이 ‘금연침’을 맞고 있고, 이 치료법이 흡연 고리를 끊는 데 효과적이라는 전제 하에 ‘금연침’ 시술자들은 돈을 쓸어 담고 있는 중이다. 하지만 과학적 근거는 우리에게 전혀 다른 말을 하고 있다.

매주 한 번, 5주 동안 귀의 경혈에 전기적 자극을 가하는 ‘이침법(耳鍼法, ear acupuncture)’이 ‘가짜 치료법(sham treatment)’보다 효과가 좋은지 알아보기 위한 임상 실험이 125명의 흡연자들을 대상으로 행해졌다. 피실험자 모두 각 그룹에 ‘무작위 배정’되었고, 실험자와 피실험자 모두 ‘이중맹검(double-blind)’ 처리되었으며, ‘가짜 치료법’으로 치료한 ‘플라시보 대조군’을 두었다. (The efficacy of auriculotherapy for smoking cessation: a randomized, placebo-controlled trial)
 



연구 결과 두 그룹 간의 금연율에는 그다지 차이가 없다는 것이 드러났다. 6주가 지난 후 살펴보니 ‘이침법’으로 치료받은 그룹의 금연율이 20.9%였는데, 이를 17.9%의 금연율을 보여준 ‘플라시보 대조군’과 비교해 보면 사실 별로 큰 차이가 아니었다는 말이다.

해당 연구의 저자들은 다음과 같은 결론을 내렸다.


“연구 결과, ‘이침법’이 금연에 도움이 되지 않는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더 긴 기간의 치료나 더 잦은 치료 혹은 이 실험에서 활용한 처치법을 달리 해서 다시 실험할 경우, 다른 결과가 나올 가능성도 있다. 하지만, 이 연구 결과만 놓고 보면, 매주 한 번씩 5주 동안 행한 ‘이침법’이 ‘플라시보 치료’ 보다 나은 효과를 낸다는 근거가 없다.”


연구 저자들은 물론 입바른 소리를 했다. 이론적으로 볼 때, 다른 식의 치료 방법을 쓸 경우 다른 결과가 나올 수도 있다고 말이다. 하지만 실제로 어떻게 다른 결과가 나온다는 말일까?

이 질문에 대한 해답을 찾으려면, 우리는 해당 주제에 관한 ‘코크란 리뷰(Cochrane review, 편집자주 : 근거중심의학(Evidence-Based Medicine)의 최고 연구방법론인 ’체계적 문헌고찰(systematic review)‘로 여러 치료법의 효과를 엄격하게 검증하고 있는 국제 공동 연구그룹)’를 참고해야 할 것이다.

사족을 달자면, 저 리뷰는 내게는 매우 소중한 것이다. 수년 전에 내가 연구에 착수해서 시작된 것이고 책임 저자이기까지 했으니까 말이다. 어디까지나 전(前) 공동 작업자가 내용을 표절한 후 내 이름을 빼고 자신의 새로운 보스 이름을 넣기 전까지의 이야기지만. 대체의학 연구 분야는 실로 지루할 틈이 없을 정도다!

여하튼 저 ‘리뷰’의 최신 버전은 이렇게 결론 내리고 있다. (Acupuncture and related interventions for smoking cessation.)


“침술, 지압, 레이저자극요법, 전기자극요법 등이 금연에 도움이 된다는 그 어떤 ‘일관된(consistent)’, ‘편향되지 않은(bias-free)’ 근거도 없는 게 사실이다. 하지만 근거 부족과 연구방법론적 문제로 인해 확실한 결론을 내리긴 어렵다. 침술, 지압, 레이저자극요법 등을 단독으로 활용할 경우 근거중심적 치료보다는 덜 효과적이긴 하지만, 이것들이 대중적이며 적절히 사용할 경우 안전한 치료법이기 때문에 이에 관해 잘 고안된 (추가적) 연구는 당연히 필요하다 할 것이다.”


이것은 정말이지 ‘아주, 아주(강조하기 위해 같은 말을 두 번 쓰고 싶다)’ 괴이쩍일 정도로 완곡한 결론이라고 생각한다. 만약 내가 아직도 이 ‘표절 논문(!)’의 저자였다면, 나는 다음과 같이 더 직설적인 결론을 제시했을 것이다:


“현재 우리는 ‘금연침’을 연구한, 33개나 되는 여러 실험 논문들을 살펴 볼 수 있다(만약 새로운 실험을 행한다면 그 수는 34개로 늘어나게 될 것이다). 관련 증거들은 총체적으로 금연과 관련한 침술의 효과를 증명하는데 실패했다. 그러므로 침술은 금연치료에 있어서 어떤 유효한 선택사항으로도 고려되어선 안될 것이다.”



역자 프로필 :

퇴몽사(退蒙士) 서범석

현재 모 고등학교에서 입학 업무를 담당하고 있다. 사회기여활동으로서 과학중심의학연구원의 ‘홍보특별보좌관’도 겸임하고 있다. 경희대학교에서 경제학을 전공했으며, 성균관-조지타운 대학교 TESOL 과정을 수료했다. 20년 넘게 중증 아토피로 고생하며 여러 대체 의학을 접했지만, 그 허상에 눈을 뜬 후 사이비 의‧과학 속에 자리잡고 있는 ‘몽매주의’를 퇴치하는 번역 및 집필 작업에 뛰어들었다.

저서: Q&A TOEIC Voca, 외국어영역 CSI(기본), 외국어영역 CSI(유형), 외국어영역 CSI(장문독해)



배너

배너

배너

미디어워치 일시후원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현대사상

더보기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