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4지방선거 새누리당 경선과 관련 곳곳에서 치열한 접전이 벌어지며 과열 경쟁 양상이 벌어지고 있다.
특히 여상규 의원의 지역구인 경남 남해·하동·사천의 경우 경선 불공정 시비가 불거져 당의 결정에 반발한 후보들의 탈당과 규탄 기자회견 등이 줄을 잇고 있다.
황종원·윤상기·이정훈 하동군수 예비후보들은 지난 11일 하동군청 브리핑룸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새누리당 하동군수 예비후보 1차 컷오프 결과에 대해 제기되고 있는 일련의 의혹과 공정성 문제에 대한 새누리당 경남도당과 여상규 국회의원의 명확한 입장을 촉구한다"며 △컷오프 결과 발표 계획이 4일간 연기된 점 △3배수 원칙 지키지 않고 1명을 더 선정한 이유 △ 지난달 31일 이후 새누리당의 육성 여론조사 과정과 방법, 결과의 적정성 △향응 제공으로 검찰조사가 진행 중인 후보가 제4후보로 선정된 점 △무차별적으로 시행된 특정후보의 홍보성 여론조사 등 5가지 의혹과 문제점을 제기했다.
또한, 황종원 한동군수 예비후보는 "새누리당 하동군수 후보를 선출하는 경선방식은 누구의 유·불리를 떠나 하동발전을 바라는 군민의 뜻에 부응할 수 있어야 했지만 저의 의지와 환경이 모자라서 당원들의 중지를 만들어 내지 못했다"며 후보직에서 사퇴했다.
이재열 남해군수 예비후보 또한 지난 11일 남해읍에 위치한 자신의 선거사무소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새누리당 공천을 받고자 최선을 다했지만 납득할만한 아무런 통보도 받지 못한 채 일방적으로 후보가 결정되고 말았다"며 "비위의혹 검정 없는 불공정 경선이 진행됐다"며 무소속 출마 의사를 밝혔다.
이어 이 예비후보는 지난 14일 자신의 블로그에 이 후보가 10일 오전 여상규 국회의원에게 보낸 건의서 원문을 공개했다. '여상규 국회의원께 절박한 심정으로 건의 드립니다' 제하의 건의서는 △경선과정의 불공정성 △군민여론조사의 역선택 △비의의혹 해결 촉구 등 남해군 경선의 문제점을 지적했다.
특정후보 공천배제 요구한 사천시장 예비후보들은 맞고발, '잡음' 수준 벗어나 ‘심각’
지난달 25일 정만규 사천시장을 제외한 모든 예비후보들은 정 시장 측근의 금품살포 의혹과 관련해 공천 배제와 엄정수사를 촉구하는 기자회견을 열었다. 이에 정 시장은 반박 기자회견을 열고 금품 살포 의혹은 자신과 무관하다며 의혹을 제기한 예비 후보 4명을 허위 사실 유포와 상대 후보 비방 혐의로 사천선거관리위원회에 고발했다.
정 시장 측의 이른바 '손봉투' 의혹과 과거 선거법 위반으로 시장직을 잃었던 사례, 최근 불거진 비서실장의 뇌물수수 혐의에도 불구하고 정 시장이 1차 컷오프를 통과하자 송도근 예비후보는 이에 반발하며 지난 3일 기자회견을 열고 당의 처신을 강력비판하며 무소속 출마를 선언했다.
또한 김재철 예비후보는 지난 9일 정만규 시장과 돈을 직접 건넨 것으로 알려진 우정산악회 회장 안 모 씨, 돈을 받은 이 모 씨 외 6명에 대해 "의혹을 낱낱이 밝히겠다"며 창원지검 진주지청에 고발장을 접수한 바 있다.
공정경선이 실시 될 것이라던 여상규 국회의원의 지역구인 남해·하동·사천에서 유독 심한 '공천 잡음'이 들려오는 것에 대해 여 의원측 공천 관리 부실이 문제점으로 지적된다.
이에 대해 자유언론인협회 박한명 사무총장은 지난 14일 칼럼글을 통해 "민선 6기를 맞은 지방자치제의 기본은 토호세력 척결에 있음에도 이 기본을 망각했기에 선거부정과 토호세력의 토착화가 이뤄지고 있는 것"이라며 "관례와 관성에 젖은 새누리당이 무사 안일한 공천을 남발하는 것에서 그 원인을 찾을 수 있다"고 비판했다.
이어 박 사무총장은 "그중에서도 특히 새누리당 여상규 의원의 경우 공천 관리가 '공천 혁명', '깨끗한 정치'를 강조한 박근혜 대통령의 뜻에 정면으로 배치되고 있어 당연히 책임져야 한다"며 "앞으로 여상규 의원에 대한 현미경 검증으로 의혹이 불거질 시 고소·고발과 낙천·낙선운동도 불사할 것"이라 밝힌 바 있다.
소훈영 기자 firewinezero@gmail.com
ⓒ 미디어워치 & mediawatch.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