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제보 및 독자의견
후원안내 정기구독 미디어워치샵

폴리틱스워치 (정치/사회)


배너

경향, “소방대원, 김문수 목소리 몰라봐 인사조치 당해”?

사실왜곡 하는 언론의 선정적 제목달기 지양해야

김문수 경기도지사가 ‘119통화 논란’ 구설에 휩싸여 곤욕을 치르고 있다. 다수의 언론 보도에 따르면 김 지사는 지난 19일 낮 12시 30분경 경기도 남양주의 한 노인요양원을 방문했다가 암 환자 이송체계 등을 문의하기 위해 남양주소방서에 직접 전화를 걸었다.

전화를 받은 남양주소방서 상황실 근무자는 김 지사의 전화를 받고 장난 전화로 판단 김 지사가 “누구냐”고 묻는 질문에 답을 하지 않은 채 일방적으로 전화를 끊었다.

이에 김 지사는 다시 전화를 걸었고, 다른 근무자 역시 장난전화로 판단해 응대하지 않았다. 김 지사는 이날 두 번의 전화에 걸쳐 9차례 자신의 신분을 밝힌 것으로 알려졌다.

김 지사는 이 사실을 경기도 소방재난본부에 알렸고, 도 소방재난본부는 지난 23일 자로 해당 상황실근무자 2명을 포천과 가평소방서로 인사발령을 낸 사실이 뒤늦게 알려진 것.

여기에 도 소방재난본부는 도내 소방관들에게 ‘김 지사의 목소리를 기억하라’는 특별 교육 지시까지 내린 것으로 알려지자, “이제 도지사 목소리까지 기억해야 하냐”며 네티즌들이 따가운 시선을 보내고 있는 상황이다.

김 지사는 징계성 인사 조치를 철회할 것을 요구하는 트위터글이 올라오자 "소방시스템에 위치도 나온답니다. 근무자들 기본이 안된 거죠"라고 적어 철회할 생각이 없음을 분명히 했다.

보도를 종합해보면, 김 지사가 위급상황이 아닌데도 불구하고 119 전화로 신분만을 밝힌 채 물어볼 것이 있다고만 말한 점, 상황실 근무자에게 자신의 의견을 전달하기 위해 충분히 의사소통노력을 다 했는지의 여부, 그리고 소방재난본부의 상황실 근무자 인사발령 조치 자체는 ‘과잉징계’ 지적을 받을 수 있는 비판의 소지가 있어 보인다. 반면, 상황실 근무자 역시 119전화 대응에 있어 상대방의 의도를 정확하게 파악하기 위한 노력보다는 장난전화로 성급히 판단을 내린 부분은 매너리즘적인 태도가 엿보인다는 점에서 충분히 지적할 수 있는 대목이다.

하지만 문제는 일부 언론의 보도태도다. 김 지사에 대해 단순히 자신의 목소리를 몰라본다는 이유로 119 소방대원들을 일방적으로 징계한 인물로 왜곡하고 있는 점이다.

대표적인 언론이 바로 경향신문이다. 경향닷컴은 28일 ‘“나 김문수 지사야” 목소리 몰라본 119대원 문책’이란 제목을 달아 이 사건을 보도했다. 김 지사가 상황실 근무자의 근무태도를 문제 삼아 징계했을 것이라는 추정이 충분히 가능함에도 경향닷컴은 이에 대한 취재 없이 일방적으로 119대원들이 김 지사의 목소리를 몰라봐 징계를 당했다는 오해를 일으키도록 보도했다.

경향닷컴 외에도 온라인 중앙일보 역시 ‘김문수 119 전화 논란…목소리 몰랐다고 인사조치?’란 제목을 뽑아 관련 기사를 내보냈다. 징계 사유에 따라 김 지사에 대한 여론의 향방이 극단적으로 갈릴 수 있는 중요한 사안임에도 일방적으로 선정적인 제목을 뽑아 여론을 자극한 것이다. 이를 증명하듯 경향닷컴과 온라인 중앙일보 기사 댓글란에는 김 지사를 맹비난하는 댓글이 이어지고 있다.

국민일보는 아예 관련 기사를 네이버 뉴스캐스트에 올려 파문은 더 커지고 있는 모양새다.

지난 1월 판교 주민센터에서 자신의 이름을 모른다는 이유로 행패를 부렸다가 여론의 집중 비난을 받았던 민노당 이숙정 시의원의 사례를 떠올린다면, 이 효과를 의도적으로 노린 정치적 목적이 아니라면, 보다 정확한 진상파악이 언론의 우선적 할 일이 아닐까?

정확한 사실 확인과 전달보다는 사냥에 나선 네티즌들에 먹잇감을 던져 주듯 선정적 제목뽑기에만 열을 올리는 언론들의 고질적 행태는 이제라도 바로잡혀야 할 대목이다.

사실과 다른 왜곡된 제목으로 논란을 키운 언론의 ‘김문수 119통화 논란’ 파문은 언론의 제목 뽑기가 얼마나 중요한 지 새삼 방증하는 또 다른 사례다.



배너

배너

배너

미디어워치 일시후원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현대사상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