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제보 및 독자의견
후원안내

기타


배너

자유전공ㆍ모집단위 신설ㆍ기존 학과 배분..신중한 논의



(서울=연합뉴스) 사건팀 = 내년에 법학전문대학원이 개원하는 대학의 법대 학사과정 신입생 모집이 중단됨에 따라 발생하는 `잉여정원'을 어떻게 활용할지 각 학교가 방안을 마련 중이다.

법학전문대학원설치ㆍ운영에 관한 법률에 따르면 법학전문대학원을 설치하는 대학은 법대 학사과정을 운영할 수 없도록 돼 있다.

이들 대학은 내년도부터 법대 학사과정 신입생을 선발할 수 없게 되지만 대신 여기서 발생하는 `잉여 정원'을 활용할 수 있다. 기존의 법대 학사과정 정원에서 법학전문대학원 정원의 75%를 제외한 것이 `잉여정원'인데 이는 법학전문대학원이 3년 과정으로 학사과정보다 짧기 때문이다.

19일 법학전문대학원 설치 인가를 받은 대학들에 따르면 각 대학은 잉여정원을 자유전공이나 모집단위 신설, 기존학과 배분 등의 방식으로 처리할 방침이지만 정원 배정이 매우 민감한 문제이기 때문에 신중한 검토를 거듭하고 있다.

서울대는 93명의 `잉여정원'을 자유전공 형식으로 선발하는 방안을 추진 중이다.

이들은 특정 단과대학에 소속되지 않고 자유롭게 전공을 선택하거나 졸업 시 자신이 수강한 과목을 중심으로 전공을 인정받게 되지만 법대 내부에서는 관련 분야를 묶어 새로운 전공을 만들자는 의견도 제기되고 있다.

한양대도 특별한 전공없이 여러 과목을 수강하다 원하는 전공을 선택하는 자율전공시스템을 도입하기 위해 학칙을 개정할 계획이며 성균관대는 `잉여정원' 160명 가운데 일부를 경영학과에 배정하고 나머지를 자유전공으로 선발하는 안을 검토 중이다.

건국대는 본부 직할로 국제학부 등 장기발전전략에 맞는 학부를 신설하는 방안을 검토 중이고 경희대는 두뇌한국(Brain Korea)21 사업을 위해 대학원 정원을 늘리는 안 등을 논의 중이며 인하대는 금융공학과 서비스경영 전공을 신설하기로 했다.

`잉여정원'을 기존 학과에 나눠주는 안 등을 검토 중인 것으로 알려진 다른 대학들은 정원에 대한 첨예한 이해 관계를 의식한 듯 아직 명확한 결정을 내리지 못하고 있다.

고려대는 당초에 인문ㆍ사회과학의 여러 분야를 아우르는 새로운 단과대를 만드는 것으로 알려졌지만 아직 결정된 바가 없고 보다 신중한 논의를 거쳐 활용방안을 결정한다는 입장이다.

이화여대는 `잉여정원' 125명을 신생학과나 기존학과에 할당할 예정이지만 어디에 몇명씩 배분할지 결정하지 못했고 중앙대는 법대 학사과정을 존치시키도록 법을 개정하자는 의견도 있는 만큼 좀더 추이를 지켜보기로 했다.

서강대는 법학전문대학원 인가 신청을 위해 법대정원을 늘리는 과정에서 정원이 감축된 학과에 이를 다시 돌려줄 예정이며 서울시립대는 과거에 증원 과정에서 제외됐던 학과에 정원을 배정하는 안을 검토하고 있으나 아직 결론을 내리지 못했다.

연세대는 이공계 인원배정이나 자율전공제 등 모든 가능성을 열어놓고 있으나 각 단과대의 이해가 첨예한 만큼 학장 회의에서 공개 논의를 할 계획이며 한국외대는 아직 본격적인 검토에 착수하지 못했다.

김영세 연세대 교무처 정책부처장은 "정원 배정은 민감한 문제라서 함부로 이야기를 꺼내기 어렵다"며 "송도 캠퍼스로 이전하는 모집 단위에 인센티브로 정원을 배당하는 문제도 고려 중이지만 아직까지는 기본 자료를 수집하는 단계라 결정된 것이 없다"고 말했다.

sewonlee@yna.co.kr

(끝)



배너

배너

배너

미디어워치 일시후원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현대사상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