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제보 및 독자의견
후원안내

기타


배너

2006년 연봉 최고 이슈는 ‘신입연봉 3천만원 시대 개막’

2006년 가장 주목 받았던 연봉 이슈는 ‘대기업 신입연봉 3천만원 시대 개막’인 것으로 조사됐다.

취업포털 커리어(www.career.co.kr)가 언론보도 횟수, 홈페이지 기사 구독률, 게시판 토론 참여율 등을 통해 ‘2006년 연봉 핫 이슈’를 발표한 바에 따르면, 연봉 최고 이슈로 ‘대기업 신입연봉 3천만원 시대 개막’이 꼽혔다.

이어 ‘신(神)의 직장, 연봉도 천정부지’, ‘기업 임금인상률 5년째 하락’, ‘영어성적, 연봉 및 승진을 위한 필수조건’, ‘학력 높을수록 남녀 신입 연봉 격차 심해’ 등이 연봉 핫 이슈로 뽑혔다.

‘2006년 연봉 핫 이슈’로 선정된 항목들을 커리어의 소개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 대기업 신입연봉 3천만원 시대 개막

올 하반기 신입사원 공채를 진행한 대기업들의 대졸 평균 초봉은 3,088만원인 것으로 조사되어 신입연봉 3천만원 시대의 개막을 알렸다. 업종별로는, 금융업이 3,352만원으로 가장 높았다. 은행, 증권, 보험 등 세부 업종별로 상위권 업체들은 모두 대졸 초임이 3,700만원을 상회하는 수준이었다. 뒤를 이어 ▲석유/화학 3,214만원 ▲기계/철강 3,207만원 ▲건설 3,171만원 ▲제약 3,086만원 등이 높은 임금을 자랑했다.

△ 신(神)의 직장, 연봉도 천정부지

‘신이 내린 직장’을 넘어 이제는 ‘신도 다니고 싶어 하는 직장’으로 불리는 한국은행, 금융감독원, 산업은행 등 7개 금융권 공사가 한꺼번에 시험을 치르는 지난 10월 22일은 취업희망자들 사이에서 이른바 ‘A매치 데이’라고 불릴 만큼 취업전쟁이 치열했다. 이처럼 치열한 경쟁률을 기록한 이유는 천정부지로 오르는 연봉 때문. 국책은행의 초봉은 3,000만원대 중반이며 지난해 직원 1인당 평균 연봉도 산업은행 8,450만원, 금융감독원 7,540만원, 한국은행 7,390만원 등으로 일반 공기업의 4000만~5000만원대를 훌쩍 뛰어넘었다.

△ 기업 임금인상률 5년째 하락

국내 기업의 임금인상률이 5년째 하락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 4년제 대졸 신입사원의 평균 연봉은 187만9,000원으로 조사됐다. 한국경영자총협회가 종업원 100명 이상 기업 1,327개사를 대상으로 조사해 발표한 ‘2006년 임금조정 실태조사’에 따르면 올해 국내 기업의 임금인상률은 평균 5.4%로 5년째 하락세가 지속됐다. 대기업의 임금인상률이 매년 낮아지면서 몇 년간 확대 추세에 있던 대-중소기업 간 임금 격차는 약간 줄어들었다.

△ 영어성적, 연봉 및 승진을 위한 필수조건

커리어가 72개 기업 인사담당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한 결과 영어가 승진과 연봉정책에 영향을 미친다는 응답이 79.2%에 달해 영어실력이 직장생활의 필수조건으로 나타났다. 기업 규모별로는 대기업은 응답자의 88.5%가, 중견기업은 87.3%, 중소.벤처기업은 80.8%가 각각 ‘영어능력이 승진 등에 영향을 미친다’고 답해 기업 규모가 클수록 영어능력과 승진과의 연관 정도가 큰 것으로 분석됐다.

△ 학력 높을수록 남녀 신입 연봉 격차 심해

최종학력이 높아질수록 신입직 남녀 직원간 연봉차이도 커지는 것으로 조사됐다. 커리어가 입사 1년 미만의 신입사원 1만9천837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고졸 신입사원의 연평균 임금은 1천591만원으로 집계됐다. 전문대를 졸업한 신입사원의 연봉은 1천684만원, 4년제 대학 졸업자는 2천95만원, 대학원 졸업자는 2천379만원으로 나타났다. 최종학력에 따른 남녀 직원간 임금격차는 대학원을 졸업한 신입사원이 496만원으로 가장 높았으며 대졸(441만원), 고졸(230만원), 전문대졸(203만원) 등이 뒤를 이어 최종학력이 높을수록 남녀 직원간 임금차도 대체로 커지는 모습을 보였다.

△ 구직자 희망연봉 ‘2200만원’ - 현실은 ‘1400만원’

구직자가 생각하는 대졸초임(연봉)이 실제대졸 초임(연봉)과는 큰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페이오픈이 구직자 268명과 직장인 1287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이들이 생각하는 적정 초임은 1,800만원에서 2,200만원 사이가 39.4%로 가장 많았으며 2,200만원 이상 2,800만원 이하가 30.2%로 뒤를 이었다. 1,400만원에서 1,800만원 사이 초봉을 희망 사항으로 꼽은 응답자가 16.2%로 다음을 차지했고, 2,800만원 이상도 7.2%를 차지했다. 반면 이들이 실제 취업시 받은 연봉은 이에 훨씬 못 미친 것으로 조사됐다. 응답자의 34.0%가 1,400만원에서 1,800만원 정도를 받았다고 답했으며 1,800만원 이상 2,200만원 이하도 27.3%로 집계됐다. 60%가 넘는 직장인들이 2,200만원 이하의 연봉을 입사 첫 해 받은 것이다.

△ 미혼 80% "아내 연봉 많아도 괜찮아"

미혼 10명 중 8명은 아내의 연봉이 남편보다 많아도 상관없다고 여기는 것으로 조사됐다. 결혼정보회사 비에나래가 미혼 남녀 648명을 대상으로 ‘아내가 남편보다 연봉이 많은 부부’에 관해 설문조사한 결과 응답자의 80.7%가 긍정적으로 대답했다고 밝혔다. ‘아내가 남편보다 사회적 지위가 더 높은 것’에도 남성(69.6%),여성(56.9%) 모두 긍정적인 입장을 나타내 남성의 대다수(62.2%)가 부정적 반응을 보였던 4년 전과 비교해 시대적 변화상을 엿보게 했다.

△ 연봉 서비스 무료화 확대

연봉정보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해 감수해야 했던 유료회원 등록이나 포인트 전환 등의 비용부담과 번거로움이 연봉 서비스 무료화 확대로 크게 개선되었다. 가장 먼저 포문을 연 것은 커리어로 업계 최초로 무료 연봉정보 서비스를 오픈했으며, 연봉정보사이트 페이오픈도 무료 서비스를 확대했다. 이외 각 취업포털에서도 인터넷분야 대표직종 연봉백서 무료 공개와 1천대 기업 연봉정보 무료로 서비스 등을 선보여 본격적인 연봉 서비스 무료화 시대를 열었다.

한편 △경력10년차 연봉 금융 분야가 제일 높아 △고위법관 로펌가면 연봉 6억~ 27억원 △100대 상장기업 임원-직원 연봉차 10.8배 △운전사 연봉이 9100만원-휴직자 성과급 7200만원 △공공기관장 연봉 최고 7억원 △연봉 1억원 이상 직장인 9만6천519명 △40대 주부 연봉이 3천400만원 등의 소식이 올해 많은 관심을 불러 모았다.



배너

배너

배너

미디어워치 일시후원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현대사상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