범여권 대통합 신당 추진이 올 대선의 최대 변수가 되고 있는 가운데 친노세력 배제 여부가 대통합의 최대 관건이 될 것으로 보인다. 범여권 대통합의 3대축을 구성하고 있는 열린우리당 정세균 의장, 통합민주당의 박상천·김한길 공동대표, 탈당파 그룹의 정대철 전 고문이 지난 7일 한자리에 모였지만 최대 난제는 '친노세력 배제'임이 재차 확인되었다.
아울러 친노세력 배제 여부는 이해찬 전 총리의 거취와도 밀접한 관계를 맺고 있어 범여권 대통합 향배의 핵심 변수가 될 전망이다.
통합민주당이 내걸고 있는 열린우리당 해체 요구는 사실상 유시민 김두관 전 장관 등 친노핵심인사들의 배제를 노리고 있다고 볼 수 있다. 즉, 통합민주당측의 '참여정부 실패 인정=열린우리당 해체'의 논리가 구체화된 것이 '유시민 배제론'이라는 것. '노무현 프레임' 이미지가 강한 유시민 전 장과 등과의 결별 없이는 '도로 우리당'을 벗어날 수없다는 판단때문이다.
특히, 배제대상의 한가운데 있는 유시민 전 장관의 경우 노대통령, 창여정부와 친노세력, 열린우리당 등 구여권을 아우르는 상징적 인물로 판단하고 있다.
그러나 '유시민 배제'는 그렇게 단순한 문제가 아니다. 당장 이해찬 전 총리의 경우 범여권 대선주자 6인 연석회의에 참여하고 있지만 참여정부의 정통성을 부정하지 말 것을 전제조건으로 내걸고 있다. 즉, 통합민주당측에서 요구하는 친노세력 배제는 결국 참여정부를 부정하는 것과 마찬가지이기 때문에 절대 수용 불가 입장인 것이다.
이 전 총리는 이미 "당 대 당 통합이 안 되면 움직이지 않을 것"이라며 통합민주당의 요구을 전면 거부하고 있다. 친노 세력이 배제될 경우 열린우리당에 잔류할 것임을 강력히 시사한 것이다. 이 전 총리 뿐만 아니라 현재로서는 열린우리당 지도부와 신기남 전 열린우리당 의장, 친노의원 역시 당 대 당 통합이 이뤄지지 않을 경우 통합에 참여할 수 없다는 입장이다. 그 핵심에 유 전 장관의 포함 여부가 놓여져 있는 것이다. 때문에 이 문제가 어떻게 가닥을 잡느냐에 따라 대통합의 성패가 좌우될 것으로 보인다.
문제는 통합민주당 뿐만 아니라 시민사회세력의 정치세력화를 목표로 창당을 준비하고 있는 미래창조연대 역시 열린우리당의 해체를 요구하고 있다는 것이다. 미래창조연대는 추후 대통합 신당에 참여 입장을 밝힌 상황이다.
때문에 이 문제의 적절한 타협점이 찾아지지 못할 경우 범여권 통합 흐름은 친노세력의 열린우리당과, 손학규 전 도지사와 시민사회세력 등이 참여하는 대통합 신당으로 양분될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
결국 범여권 대선 경선은 이해찬 전 총리 등이 참여하는 열린우리당의 친노진영 리그와, 열린우리당의 탈당파와 통합민주당, 시민사회세력이 함께하는 리그로 나눠져 전개될 가능성이 높아지리라는 것이다. 여기서 뽑힌 주자들이 11월에 후보 단일화를 모색할 가능성도 높아진다.
출처: 이슈아이닷컴 http://issuei.com
ⓒ 미디어워치 & mediawatch.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