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제보 및 독자의견
후원안내

기타


배너

국내 조선업계, 올해 드릴십과 LNG선 '싹쓸이'

고유가 지속으로 심해 원전 개발이 활발해지고 대체연료인 액화천연가스(LNG)가 각광을 받으면서 국내 조선업계가 올해 상반기 관련 선종 수주를 휩쓸고 있다.

14일 조선.해운시황 전문분석기관 클락슨과 업계에 따르면 삼성중공업이 올해 발주된 드릴십 3척 전부를 수주한 것을 비롯해 최근 3년간 전 세계적으로 발주된 드릴십 14척을 국내 조선업계가 '싹쓸이'했다.

드릴십은 해상 플랫폼 설치가 불가능한 심해지역이나 파도가 심한 해상에서 원유를 발굴하는 선박형태의 시추설비로, 척당 선가 5억달러 내외인 대표적인 고가 해양 설비다.

지난 1998년 이후 발주가 중단됐으나 최근 고유가가 지속되면서 유전개발업이 활기를 띠자 2005년부터 발주를 재개하는 업체들이 늘고 있다.

삼성중공업은 지난해 7월 브라질 석유공사인 페트로브라스사로부터 역대 최고가인 5억8천600만달러에 드릴십을 수주하는 등 수주잔량 11척을 기록하며 이 선종에서 독보적인 경쟁력을 보이고 있다.

드릴십 뿐아니라 고부가가치선인 LNG선의 경우도 올 상반기까지 전 세계에서 발주된 13척 모두를 국내 조선업계가 모조리 수주했다.

삼성중공업과 대우조선이 나란히 6척을 수주했고, STX조선이 처음으로 스페인 해운선사로부터 LNG선 1척을 수주하며 고부가가치 선종 시장에 출사표를 던졌다.

LNG선 수주잔량은 삼성중공업 42척, 대우조선은 38척 등 국내 조선업계가 102척을 기록, 전 세계 발주량(138척)의 74%를 차지할 정도다.

업계 관계자는 "나이지리아, 앙골라 등에서의 LNG 개발 프로젝트가 자국 정치 상황 등으로 지연됨에 따라 지난해 비해 LNG선 발주량이 적은 것은 사실이지만 계획대로 올해 60~80척의 LNG선이 발주되면 국내 조선업계는 지난해에 이어 대박을 터트릴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서울=연합뉴스) pseudojm@yna.co.kr



배너

배너

배너

미디어워치 일시후원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현대사상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