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제보 및 독자의견
후원안내 정기구독 미디어워치샵

기타


배너

[머니투데이 김진형기자][나노 반도체공학과 신설 산학협약 체결]

하이닉스반도체가 차세대 반도체 핵심 기술 확보 및 핵심 연구인력 육성을 위해 한양대 대학원에 ‘NANO 반도체공학과’를 신설한다.

하이닉스는 11일 2007년 2학기부터 나노 반도체공학과를 신설키로 한양대와 협약하고 2013년까지 6년 동안 석·박사 120여 명을 양성키로 했다. 한양대는 하이닉스가 요청한 프로젝트 테마인 ▲차세대 비휘발성 메모리 개발, ▲45나노 공정, ▲설계(DRAM/NAND/System), ▲시스템 운영, ▲팩키지 등 5개의 미래 첨단 분야에서 반도체 전문교수들이 그룹별 과제수행을 통해 학생들을 지도할 예정이다.

하이닉스는 매년 석사 15명, 박사 5명에 대한 연구비 및 장학금을 지원하며 현장 필요 지식의 터득 및 실제 수요에 맞는 맞춤형 인재를 육성하기 위해 하이닉스의 연구개발 전문가가 강의에 직접 참여한다.

하이닉스는 이번 한양대와의 산학협약을 통해 R&D(연구개발) 부문에서 전략적 연구과제로 삼고 있는 차세대 나노 반도체 기술에 대한 확보는 물론 핵심 연구인력을 육성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하이닉스는 ‘맞춤형 반도체 인재양성’을 위해 1996년부터 KAIST에 석·박사과정인 '반도체공학프로그램(KEPSI)'을 개설한 후 전국 10여 개 주요대학과 다양한 인재 양성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다.

한편 이날 산학 협약식 후 김종갑 사장은 400여 명의 학부 및 대학원생을 대상으로 ‘세계 경제 환경과 한국 기업의 진로’를 주제로 특강을 가졌다. 공직 재직 당시에도 대학 및 경제단체, 산업체 등에서 100회 이상의 특강을 했던 김 사장은 취임 후 가진 첫 대학 특강에서 "현재 세계 경제 환경을 다자주의와 지역주의, 양자주의가 혼재하는 경쟁의 시대"로 진단하고 "경쟁 제일의 상황을 돌파하기 위해서는 국가간 혹은 기업간 협력이 반드시 필요하다"고 밝혔다.

김 사장은 또 "현재 한국 기업들은 제조기술은 최고 수준이나 원천 기술이 부족한데도 불구하고 대기업과 중소기업간 협력은 물론 국제협력 노력 및 성과가 부족해 발전이 부진하다"고 지적했다.

이를 극복하기 위해서는 "정부는 각종 규제를 완화하고 기업은 투명성에 대한 제고와 지식, 기술, 정보화 역량을 강화해야 한다"고 김 사장은 강조했다.
김진형기자 jhkim@
<저작권자 ⓒ '돈이 보이는 리얼타임 뉴스' 머니투데이>



배너

배너

배너

미디어워치 일시후원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현대사상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