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제보 및 독자의견
후원안내 정기구독 미디어워치샵

기타


배너

[머니투데이 백진엽기자][젊을수록 예상 정년 짧아져..20대는 38.5세가 예상 정년]

직장인들은 자신이 몸담고 있는 직장에서 언제까지 일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을까.

11일 취업·인사포털 인크루트가 직장인 3876명을 대상으로 '예상 정년과 퇴직 형태'에 대해 조사한 결과에 따르면, 연령대에 상관없이 앞으로 근무할 수 있는 기간이 20년 미만으로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연령이 낮을 수록 예상하는 정년도 낮았다.

직장인들의 예상 정년은 평균 45.5세로 나타났다. 이는 현재 노동부에서 권고하는 정년 60세에 훨씬 못 미치는 수준이다.

특히 연령이 낮을수록 예상 정년이 짧아지는 추세였다. 20대는 예상 정년이 전체 평균에 훨씬 못 미치는 38.5세였고, 30대는 45세, 40대는 52.8세, 50대 이상은 61.8세를 자신의 정년으로 보고 있었다.

성별로 보면 남성보다는 여성이 자신의 직장수명을 짧게 예상하고 있었다. 남성의 평균 예상 정년은 47.1세인데 반해, 여성은 39.4세였다.

또 감원이나 정년이 아닌 자신이 자발적으로 희망하여 퇴직한다는 직장인이 절반을 넘었다. 예상하는 퇴직 형태로 '근로자 자신이 자발적으로 희망하는 퇴직'(56.3%, 2181명)이 절반을 넘었다. 다음으로는 정년을 다 채우고 퇴직하는 '정년 퇴직'(12.6%, 489명), '회사 경영난, 구조조정 등으로 인한 감원 퇴직'(10.1%, 390명), '회사로부터 일정액의 금전적인 보상을 받는 명예 퇴직'(6.7%, 261명) 등의 순이었다.

퇴직 형태에 따라 예상하는 정년도 차이가 났다. 회사의 권고 퇴직을 꼽은 직장인은 예상정년이 41.9세로 가장 짧았고, 정년 퇴직을 예상한 사람들의 예상 정년이 54.1세로 가장 길었다. 그 외에 감원 퇴직 43.1세, 희망 퇴직 44.1세, 직급 정년제에 의한 퇴직 44.5세, 명예퇴직 49.1세 등으로 나타났다.

연령별로는 20~30대의 과반수 이상이 희망 퇴직을 내비친 한편, 40~50대 이상의 직장인들은 정년 퇴직을 선택한 비율이 높게 나타났다. 20~30대 직장인의 경우에는 10여년 정도 일한 후 스스로 퇴직해 제 2인생을 살겠다는 생각이 많은 반면, 상당한 기간 동안 직장에 몸을 담아온 40~50대는 현 직장에서 정년을 마치겠다는 의견이 많았다.
백진엽기자 jyback@
<저작권자 ⓒ '돈이 보이는 리얼타임 뉴스' 머니투데이>



배너

배너

배너

미디어워치 일시후원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현대사상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