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제보 및 독자의견
후원안내 정기구독 미디어워치샵

기타


배너

[머니투데이 임동욱기자][그레이켄 회장 "최선의 인수자 만나면 매각..시기는 미정"]

미국계 사모펀드인 론스타가 법원의 판결이 나오지 않아도 적절한 인수자가 나타날 경우 외환은행을 매각할 수 있다는 입장을 밝혔다.

존 그레이켄 론스타 회장은 10일 뉴욕에서 한 언론과의 인터뷰를 통해 지난 2003년 외환은행 인수와 관련한 위법성에 대한 법원의 판결 이전에도 외환은행 매각 작업을 진행할 수 있다고 밝혔다.

그레이켄 회장은 "현재 매각관련 회의는 하지 않고 있지만 모든 매각절차가 완전히 중단된 것은 아니다"라며 "법원 판결 이전이라도 투자대상을 찾는 노력을 계속할 것이며 적당한 인수자가 나타날 경우 매각작업을 진행할 수 있다"고 말했다.

외환은행 매각을 위한 론스타의 그간 활동에 대해 그레이켄 회장은 "국민은행과의 계약을 파기한 이후 싱가포르개발은행(DBS)과 상의한 적은 있지만 현재 협상이 중단된 상태"라며 "다른 많은 기관들과 협상을 했지만 구체적으로 진전되지는 않았다"고 설명했다.

이어 그는 "지난 2003년부터 외환은행을 보유해왔는데 앞으로 최선의 인수자를 만나면 매각할 것"이라고 밝힌 후 "특정한 시간을 말할 수는 없지만 조건이 맞으면 연내 매각도 가능하고 매각시기가 내년 혹은 내후년이 될지도 모른다"며 다양한 가능성을 열어놨다. 이는 외환은행 매각협상 시 시간 보다는 가격 등 매각조건을 중요하게 고려하겠다는 론스타 측의 매각전략으로 풀이된다.

그레이켄 회장은 외환은행 매각 후 한국 탈출설에 대해 "한국소재 사무실을 계속 유지할 것이며 주식ㆍ채권ㆍ부동산 등 한국의 투자자산에 계속 관심을 가질 것"이라며 "앞으로 10년 이상 한국에 남아 투자활동을 계속할 것"이라고 밝혔다.

이밖에 외환은행 인수과정에서 국내 정서를 충분히 이해하지 못했던 점에 대한 아쉬움도 보였다. 그레이켄 회장은 "론스타는 법을 준수하며 투자했지만 글로 쓰이지 않은 '정서법'을 어기는 실수를 했다"며 "한국을 제대로 이해하지 못했기에 이런 문제가 발생했고, 앞으로 이같은 실수를 범하지 않기 위해 한국문화를 공부 중"이라고 말한 것으로 전해졌다.

한편 론스타는 지난 91년 설립된 글로벌 사모투자펀드(PEF)로 약 20조원의 자산을
미국 등 북중미와 아시아, 유럽 등 세계 각국에서 굴리고 있다. 국내에서는 지난 98년 자산관리공사의 부실채권 경쟁입찰 참여를 시작으로 극동건설, 외환은행 등의 대기업을 인수하고 강남 스타타워 등 대규모 부동산 등을 매입하며 한 때 6조원 가까운 투자규모를 보였다.

앞서 유회원 론스타코리아 대표는 지난 2003년 외환카드 감자설을 유포해 주가를 하락시킨 뒤 주식매수 청구권 대금 지급을 피하고 177억원 상당의 지분율을 높인 혐의(증권거래법 위반) 등으로 불구속 기소돼, 현재 서울중앙지법에서 1심 재판이 진행되고 있다.
임동욱기자 dwlim@
<저작권자 ⓒ '돈이 보이는 리얼타임 뉴스' 머니투데이>



배너

배너

배너

미디어워치 일시후원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현대사상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