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북은 8일 오전 10시 판문점 남측 '평화의 집'에서 군사실무회담을 열어 서해상 충돌방지 대책 등에 대한 논의에 착수했다.
양측은 이번 회담에서 지난달 8~11일 장성급회담에서 합의된 서해 공동어로수역 설정, 북측 민간선박의 해주항 직항 운항, 임진강 수해방지 및 한강하구 골재채취 등 협력사업의 군사적 보장대책 등을 논의한다고 국방부 관계자가 전했다.
국방부 관계자는 "이번 회담은 지난 번 장성급회담의 합의사항 이행 방안을 협의하게 될 것"이라며 "새로운 이슈는 없다"고 말했다.
그는 이어 "북측이 (이들 문제 해결을 위해) 서해 북방한계선(NLL)을 대신한 새로운 해상경계선 설정이 필요하다는 주장을 펼칠 경우 남북기본합의서에 명시된 군사부문 합의사항과 함께 국방장관회담에서 논의해야 한다는 기존 입장을 주지시킬 것"이라고 덧붙였다.
새로운 해상경계선 획정 문제에 대한 양측 입장이 팽팽해 북측이 이 문제를 들고 나올 경우 의견 조율에 진통이 따를 것으로 보인다.
지난달 25일과 지난 7일 각각 동해와 서해에서 이뤄진 북한의 미사일 발사 문제는 의제에 오르지 않을 전망이다.
정부 관계자는 "북한이 동.서해로 단거리미사일을 발사한 것은 연례적인 훈련의 일환으로 이뤄진 것으로 한.미가 정보 판단을 한 만큼 이번 회담에서 거론하지 않을 것으로 안다"며 "서해상 충돌방지대책 문제가 주로 논의될 것"이라고 전했다.
이번 회담에는 남측에서 문성묵(육군대령) 국방부 북한정책팀장(수석대표), 정진섭(해군대령) 합참 해상작전과장, 심용창 통일부 정치군사회담 팀장 등 3명이, 북측에서는 박림수 인민군 대좌(단장), 리성권 상좌(중령과 대령 사이), 전창재 상좌 등 3명이 각각 참석했다.
북측 대표단은 이날 오전 9시30분께 판문점 공동경비구역(JSA) 내 군사분계선(MDL)을 넘어 남측 평화의 집으로 이동했다.
(서울=연합뉴스) threek@yna.co.kr
ⓒ 미디어워치 & mediawatch.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