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제보 및 독자의견
후원안내

기타


배너

지질학자도 사고발생 전 `선로침하' 경고

`현장보고 묵살ㆍ늑장대응' 의혹



지난 3일 서울 서대문구 가좌역에서 발생한 선로침하 사고를 열흘 앞두고 지질학자도 가좌역 공사현장 전체에 위험이 있다고 경고한 것으로 드러났다.

이에 따라 사고 직전부터 선로 보강작업을 시작한 시설공단과 시공사가 이를 무시하고 늑장을 부리지 않았느냐는 의혹이 일고 있다.

지질학자 ○○○씨는 지난 달 21일 철도공사 직원이 5m 구덩이에 빠져 크게 다친 현장을 지난달 23일 둘러본 뒤 자문내용을 철도공사 측에 전달한 것으로 확인됐다.

이 학자는 6일 연합뉴스와의 전화통화를 통해 "누수에 의해 일부의 미립자가 빠져나가고 있다는 느낌을 받았다"면서 "일반적으로 말하자면 가장 취약한 곳부터 무너지는 게 당연하다"고 말했다.

이 학자는 당시 의견을 밝히길 극도로 꺼렸지만 그의 권고를 담은 철도공사 내부문건에는 "지반침하가 여러 가지 형태로 이뤄고 있고 가좌 정차장 공사현장 일부에서 동공이 발생된 것으로 봐서 공사현장 전체에 대한 탐사 및 보강작업이 필요하다"고 적혀있다.

지질학자와 함께 지반침하 현장을 둘러봤던 시설사업소 관계자는 감리단에 이 같은 자문 내용과 조치사항을 전달하고 공사현장 전 구간에 대한 안전관리를 요구했다고 밝혔다.

하지만 감리단장은 "5월22일과 23일 양일간 2.5m 탐침봉으로 지반을 확인했지만 지반의 이상 징후는 발견되지 않았다"며 "선로변형은 기차 때문에만 일어난 것으로 알았고 나에게 직접 와서 지반이상을 얘기한 사람은 없었다"고 말했다.

지난달 23일 전문가 자문을 받은 뒤 사고 이틀 전이자 9일이 지난 6월1일에야 지반 보강공사가 시작됐다는 점에서 현장보고를 묵살하거나 늑장대응을 하지는 않았느냐는 의혹이 꼬리를 물고 있다.

지반 이상의 심각성을 알고 조사를 의뢰할 겨를이 없어 이 전문가를 개인자격으로 섭외했다는 철도공사의 주장은 늑장대응 의혹을 더욱 부채질하고 있다.

시공사는 이에 대해 "지난달 23일 지질전문가를 초청해 현장을 답사한 후 여러 가지 조치사항에 대해 자문을 구했고 현실적으로 레일과 각종 시설물 둥 금속재가 많아 지하탐사에 어려움이 있다는 답변을 들었다"며 "즉각 장비를 수배하고 여러 가지 공사 계획을 수립해 6월1일부터 시공에 들어갔기 때문에 (현장보고를) 묵살했다는 내용은 사실과 다르다"고 반박했다.


(서울=연합뉴스) jangje@yna.co.kr



배너

배너

배너

미디어워치 일시후원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현대사상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