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제보 및 독자의견
후원안내 정기구독 미디어워치샵

기타


배너

기무사, 국방정보보호 콘퍼런스 개최

'민.관.군 정보협력체계' 중요성 강조



국군기무사령부는 22일 서울 대방동 공군회관에서 '국방정보보호 콘퍼런스'를 개최했다.

고려대, 한국정보보호진흥원 공동으로 민.관.군 정보보호 전문가 등 700여 명이 참석한 가운데 개최된 이 행사는 초빙강연, 패널토의, 정보보호ㆍ기술 및 국방분야 주제발표 순으로 진행됐다.

이번 행사에서는 유비쿼터스 환경에 부합하는 국가사이버 위기관리체계 발전방향, 미래 네트워크 중심전을 대비한 국방정보보호 발전방안과 대응기술 등이 소개됐다.

포럼에서 국가보안기술연구소(NCSC) 박응기 부장은 '유비쿼터스 환경에서의 정보보호기술 발전 추세'란 주제발표문을 통해 사이버 위협의 유형을 소개하면서 ▲다기능 악성코드 ▲웜ㆍ바이러스 전파속도 고속화 ▲탐지회피 가능한 웜ㆍ바이러스 ▲스팸 메일의 지능화 등을 가장 큰 위협으로 꼽았다.

즉 탐지 회피를 위해 잠복기를 갖거나 고의로 느리게 전파하도록 만드는 '스텔스 웜'이나 단시간에 다수의 대상을 감염시키는 등 웜ㆍ바이러스의 전파속도가 엄청나게 빨라졌다는 것이다.

박 부장은 "과거에는 지적 호기심과 도전정신의 실현을 위해 해킹을 했다"면서 "그러나 최근에는 중요정보 및 개인정보 절도를 통한 금전적인 이익과 적국에 대한 스파이행위 및 테러에 악용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국방부 전윤갑 중령은 '국방사이버 위기관리체계 발전방향'이란 주제발표문에서 "작년에는 개인 호기심 등 단순한 이유로 국방전산망을 침해하는 사고가 대부분이었다"고 소개한 뒤 "인터넷 PC에 군사자료를 저장하지 말고 비인가 휴대용 저장장치(USB) 관리 방안을 마련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어 주제 발표에 나선 한국정보보호진흥원(KISA)의 채승완 박사는 "우리 나라의 IT(정보기술)관련 예산 가운데 정보보호 예산은 미국과 일본, 유럽연합, 영국 등에 비해 크게 낮은 수준"이라고 지적했다.

채 박사는 "미국은 IT예산 630억 달러 가운데 정보보호 예산은 57억달러(9%)이고 일본은 1조3천억 엔의 IT예산 중 319억엔(2.4%)이다"며 "한국의 IT예산 대비 정보보호 예산은 2% 미만으로 향후 7% 수준까지 끌어 올려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어 순천향대 정보보호 동아리 주관으로 진행된 전파인식(RFID) 해킹기술 시연회에서 참석자들은 "유비쿼터스 환경에서 기반기술인 RFID가 해킹에 무방비로 노출될 수 있다는 점에 놀랐다"면서 국가적 차원의 대응책 마련을 주문했다.

행사를 주최한 허평환(중장) 기무사령관은 "우리 군은 국방개혁 2020과 연계해 미래 네트워크 중심전 수행을 위한 기술 집약형 군 구조로 전환하고 있다"며 "정보화 역기능 피해와 사이버 위협에 능동적으로 대처하기 위해 민.관.군이 긴밀한 협력체계를 구축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기무사는 전군 정보보호 실무자를 대상으로 해킹과 웜ㆍ바이러스 대응교육을 위한 국방정보보호교육센터를 지난 4월 신설했다.

현재 초급 및 중급과정을 운영하고 있으나 내년부터는 해킹기법 개발이 가능한 고급과정을 개설해 연간 100명 이상의 정보보호 전문인력을 양성, 미래 정보전에 대비한다는 방침이라고 기무사는 설명했다.



(서울=연합뉴스) threek@yna.co.kr



배너

배너

배너

미디어워치 일시후원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현대사상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