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제보 및 독자의견
후원안내 정기구독 미디어워치샵

기타


배너

"냉매ㆍ실외기없는 `차세대 에어컨' 상용화"

연세대ㆍ세실실업 공동개발…국내외 2건 특허 출원
"온실가스 막아 지구온난화 방지 기여…품질ㆍ가격 경쟁력까지"

냉매와 실외기가 없으면서도 기존 에어컨보다 더 나은 성능을 가진 차세대 에어컨이 개발돼 상용화를 앞두고 있다고 연세대가 22일 발표했다.

연세대에 따르면 원주캠퍼스 박영우(56ㆍ의학물리학)ㆍ남균(64ㆍ고체물리학) 교수와 ㈜세실실업 공동연구팀은 4년 간의 연구를 통해 열전모듈(Thermo-Module)을 이용한 세계 최고 수준의 냉각 기술을 개발했고 이를 제품화하는 데 성공했다.

연세대는 "이번에 개발된 에어컨이 냉매를 전혀 사용하지 않고 실외기도 없는 상태에서 기존의 냉매를 사용한 에어컨보다 초기 냉각 속도가 2배 이상 빠르다"며 "전 세계 에어컨 업계의 숙원이던 냉매 문제를 근본적으로 해결한 에어컨 기술의 신기원"이라고 설명했다.

연세대는 여름에 냉방기로 사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겨울에는 히터로도 사용할 수 있으며 주요 부품인 열전모듈의 가격이 급락하고 있어 가격 경쟁력도 갖추고 있다는 점을 장점으로 꼽았다.

연세대는 또 이 시스템이 한번 설치하면 거의 반영구적으로 쓸 수 있고 폐기할 때는 부품의 재활용이 가능해 자원 낭비를 최소화할 수 있으며 실외기를 사용하지 않아 이동까지 간편하다고 설명했다.

무냉매 에어컨은 냉매 에어컨보다 냉각 효과가 떨어지기 때문에 현재 국내에서는 무냉매 에어컨이 판매되지 않고 있으며 시중의 이동형 에어컨들 또한 대다수 냉매(R-22)를 사용하고 있다.

해외에서는 열전 모듈을 이용한 에어컨이 제작돼 인터넷을 통해 시판되고 있지만 용량이 매우 적은 데 비해 고가(1천441∼2천780달러)에 판매되고 있어 가격 경쟁력이 떨어진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연구진은 이번 개발로 2개의 국내외 특허를 출원했으며 향후 지속적인 연구개발을 통해 성능 향상에 집중할 계획이다.

남균 교수는 "유엔 산하 `기후변화 정부간 위원회'는 `위기의 지구'를 구하는 데 남은 시간이 8년 밖에 남지 않았다고 발표했다"며 "지구 온난화의 주범인 냉매가스를 쓰지 않는 에어컨을 개발함으로써 21세기를 사는 과학자로서 큰 사명을 다했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서울=연합뉴스) jangje@yna.co.kr



배너

배너

배너

미디어워치 일시후원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현대사상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