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제보 및 독자의견
후원안내 정기구독 미디어워치샵

기타


배너

남북, 열차시험운행 한시적 군사보장 합의

해상충돌방지.경협군사보장 점진적 논의키로
한시적 군사보장합의서 채택..공동보도문은 밤샘 조율



남북은 10일 판문점 북측지역 통일각에서 제5차 장성급 군사회담 마지막 날 회의를 열어 오는 17일 경의.동해선 열차시험운행을 위한 한시적 군사보장합의서를 마련키로 합의했다.

이에 따라 경의선의 경우 시험운행이기는 하지만 1951년 6월 12일 전쟁 중에 운행이 전면 중단된 지 56년 만에 열차가 군사분계선(MDL)을 넘게 됐다.

양측은 이날 오전 10시부터 실무대표 및 수석대표 접촉, 전체회의를 번갈아 열어 17일에 한 해 열차운행 군사보장 조치를 취하기로 하고 11일 오전 합의서를 교환키로 했다고 정부의 한 관계자는 전했다.

열차 통행 시각과 통보 및 신호체계, 승무원 신변안전 보장, 경계병력 배치 등을 규정한 군사보장 합의서는 시험운행이 이뤄진 뒤 효력이 상실된다.

남측은 철도.도로 통행을 위한 항구적 군사보장 합의서를 요구했으나 북측은 남측의 동해선 강릉~저진 구간의 미완성을 이유로 한시적 군사보장 조치를 강조해 결국 북측 주장을 수용하는 선에서 마무리됐다.

이와 함께 북측이 제기한 서해상 충돌방지대책, 공동어로 수역 설정, 남북 경제협력사업의 군사보장 조치 마련 등의 문제는 군사신뢰구축 진전과 병행해 점진적으로 논의키로 의견을 모으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정부의 한 관계자는 "북측이 제기한 문제들은 방법 및 시기상에서 양측의 이견이 있는 만큼 당장 합의점을 이끌어 내기 힘들다"면서 "남북 군사신뢰구축 진전 상황과 병행해 계속 협의해 나가는 방향으로 의견을 조율하고 있다"고 전했다.

이 때문에 양측은 밤샘 협상을 통해 북측이 제기한 문제를 공동보도문에 어떤 식으로 반영할 지를 조율할 것이라고 그는 덧붙였다.

남북은 이날 오후 11시 현재 열차시험운행을 위한 한시적 군사보장합의서 마련을 위한 실무대표 접촉과 공동보도문 조율을 위한 실무대표 접촉으로 이원화해 협의를 진행하고 있으며 11일 오전 이를 발표할 계획이다.



(판문점=공동취재단) threek@yna.co.kr



배너

배너

배너

미디어워치 일시후원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현대사상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