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3년 '어린이 안전원년'을 선포한 이후 14세 이하 어린이의 사망사고는 매년 감소하고 있지만 안전사고는 해마다 늘어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허정택 한국소비자원 소비자안전센터 리콜제도팀장은 4일 열린 '어린이 안전원년 선포 기념 토론회'에 주제 발표자로 나서 2003년 이후 어린이 안전사고 실태를 분석한 결과 이렇게 나타났다고 밝혔다.
실태 분석 결과 어린이 사망사고는 2003년 1천16건, 2004년 891건, 2005년 756건 등으로 계속 줄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소비자원 소비자위해감시시스템(CISS)에 보고된 어린이 안전사고는 2003년 2천342건, 2004년 3천345건, 2005년 4천40건, 2006년 4천541건 등으로 증가세를 이어가고 있다.
2003∼2006년 어린이 안전사고(1만4천268건)를 연령대별로 보면 ▲0∼3세 44.7% ▲4∼6세 25.7% 등 6세 이하가 전체의 70.4%로 대부분을 차지했고, 7∼14세가 29.6%로 집계됐다.
어린이 안전사고가 발생하는 장소는 가정이 60.7%로 가장 많았고, 공원 및 놀이시설 11.7%, 공공행정 및 서비스 지역 7.1%, 도로 7.0%, 운동 및 여가활동 지역 5.7%, 교육 및 교육시설 4.0% 등으로 나타났다.
어린이들은 안전사고로 머리와 얼굴(55.1%), 팔과 손(19.3%), 다리.발(8.7%), 내부기관(6.3%) 등을 많이 다쳤고, 상처를 입는 이유는 추락.넘어짐.미끄러짐(33.7%), 충돌.충격(23.2%), 이물질 흡입 및 섭취(8.8%), 베임.찢어짐(7.8%), 눌림.끼임 등 압궤(7.7%) 순이었다.
어린이 안전사고를 유발하는 물품은 스포츠.레저.취미.놀이용품이 25.1%로 가장 많았으며, 건물 및 설비가 17.4%, 가구 15.3%, 식료품.기호품 8.6% 등이었다.
또 소비자원이 경기도 소비자정보센터와 공동으로 경기도 내 4개 도시 500가구를 대상으로 어린이 안전사고에 대해 설문 조사한 결과 안전사고의 원인으로는 아동의 부주의 46.4%, 부모의 부주의 42.6% 등 부주의에 의한 사고가 전체의 89.0%로 대부분을 차지했고, 시설물 관리 미흡 5.2%, 물품의 결함 3.8% 등이었다.
그러나 500가구 중 85.2%는 안전사고에 대한 교육 경험이 전혀 없는 것으로 나타나 부모와 어린이가 함께할 수 있는 가정 내 안전교육 프로그램 개발이 시급한 것으로 나타났다.
허 팀장은 "어린이 안전원년 선포 이후 정부에서 어린이 안전종합대책을 수립.추진하면서 사망사고가 주는 등 가시적 성과가 나타나고 있다"면서 "하지만 안전사고는 매년 증가하고 있어 새로운 중장기 어린이 안전 선진화 종합대책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이재용 보건복지부 아동안전관리팀장은 "어린이 안전사고로 인해 한해 2조136억원의 사회적 손실 비용이 발생한다는 분석 결과가 있다"면서 "범 정부적인 어린이 안전사고 종합정보망 시스템을 구축하고 과학적인 근거와 데이터에 기반을 두고 체계적.맞춤형 어린이 안전대책을 마련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윤선화 한국생활안전연합 대표는 "2003년부터 국무조정실을 비롯해 11개 부처가 공동으로 아동안전과 관련한 76개 대책을 수립해 실시하면서 각 사업마다 업무 중복과 혼선이 나타나고 있다"면서 "각 부처별 역할 배분을 명확하게 규정하기 위해 아동복지법 개정 혹은 아동안전기본법 제정을 추진해야 한다"고 밝혔다.
(서울=연합뉴스) pdhis959@yna.co.kr
ⓒ 미디어워치 & mediawatch.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