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제보 및 독자의견
후원안내 정기구독 미디어워치샵

기타


배너

북 "납북자-국군포로, 이산가족 해법으로 해결"

"당국간 협의기구 문제는 남북 당국이 논의할 문제"
"김영남 가족 재상봉 요청 땐 적극 협력할 것"



남북 적십자회담의 북측 단장인 최성익 조선적십자회 중앙위원회 부위원장은 1일 납북자.국군포로 문제를 일반 이산가족문제의 해결 과정에 포함시켜 포괄적으로 풀어야 한다는 기존의 입장을 재확인했다.

그는 이날 재일본 조선인총연합회 기관지 조선신보와 인터뷰에서 "그들(이산가족) 속의 누구는 문제가 절실하고 다른 누구는 절실하지 않다는 법이 없고 이 문제를 놓고 누구부터 먼저 해결하자고 말하는 것은 옳지 않다"면서 "북남 쌍방은 흩어진 가족, 친척문제를 통일에 이롭게 풀어나가야 한다"며 이 같은 입장을 밝혔다.

최 부위원장은 "국군포로와 납북자는 존재하지 않는다"며 "역사적인 문제를 다시 끄집어낸다면 우리측도 정전협정 체결당시 8만3천여명의 인민군 포로를 '반공포로'의 이름 밑에 강제석방시켜 남측에 억류시킨 문제에 대해 할 말이 있다"고 강조했다.

그는 "정전협정을 반대하면서 포로문제 해결에 성실히 나서지 않았던 남측은 전쟁시기 행불자 문제에 대해 말할 명분도 자격도 이미 상실했다"며 "남측이 국군포로.납북자 문제라는 것을 들고나와 화해와 협력분위기를 흐리게한데 대해 반성하고 쌍방의 합의를 존중한다면 이 문제는 얼마든지 해결될 수 있다"고 지적했다.

그는 제8차 적십자회담에서 남측이 이 문제를 풀기 위해 당국간 협의체 구성을 제의한 것과 관련, "이 문제를 별도로 해결하자는 제안에 대하여 우리는 강력히 반대했다"며 "적십자회담에서 당국간 협의기구를 내올데 대하여 제안하는 것 자체가 도리에 맞지 않다"고 주장했다.

최 부위원장은 "그것은 당국이 결심할 문제이지 적십자가 간참(간섭)할 문제가 아니다"라며 "적십자회담에서는 자기 권능에 맞는 문제를 토의해야 한다"고 밝혀 장관급회담 등에서 이 문제를 논의해 합의가 이뤄질 가능성을 배제하지 않았다.

그는 남측 언론의 납북자.국군포로 용어사용 보도에 대한 북측의 반발에 대해 "이것은 사회의 다양성이나 언론 자유의 문제가 아니라 흩어진 가족과 친척 문제해결에 대한 남측의 입장과 태도에 관한 문제"라고 주장했다.

그는 요코다 메구미씨의 남편이었던 김영남씨의 남측 가족 재상봉과 관련, "지난해 8월 '아리랑'의 참관을 계기로 다시 만날 약속을 했지만 제반사정으로 실현되지 못했다"며 "그러나 당사자들끼리 약속한 일이니 아무 때나 실현될 수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그는 "현재 남측에서 상봉과 관련한 요청은 없으나 본인들이 요구한다면 우리는 상봉의 실현을 위하여 협력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서울=연합뉴스) jyh@yna.co.kr



배너

배너

배너

미디어워치 일시후원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현대사상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