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는 30일 내년도에 사용할 일본의 고교 교과서 내용이 공개되자 '기대에 미흡하고 후퇴한 내용'이라며 강력 대응 방침을 천명하고 나섰다.
특히 이번 교과서에서 문제가 된 독도 영유권 문제나 일본 총리의 야스쿠니 신사참배 내용 등이 '교묘하게 일본측 논리를 강화하는 방향으로 수정됐다'는게 정부 당국자들의 분석이다.
이에 따라 정부는 외교통상부 대변인 명의의 성명을 통해 독도를 일본 영토로 기술한 고교 교과서를 검정에서 통과시킨 일본 문부과학성의 결정을 용납할 수 없다고 지적하고 철회를 강력히 촉구했다.
성명은 "일본 정부가 2007년도 고교 교과서 검정에서 우리 고유 영토인 독도를 자국 영토로 기술한 교과서를 통과시킨 것은 용납할 수 없는 일로서 즉각 철회할 것을 강력히 촉구한다"고 밝혔다.
성명은 또 "일본 정부의 검정을 통과한 고교 교과서 중 일부가 여전히 과거를 직시하지 못하고 그릇된 역사인식을 토대로 하고 있는 데 대해 깊은 우려를 표한다"고 덧붙였다.
정부 당국자들은 일본측이 잘못된 과거에 대한 진정한 사과를 바탕으로 바람직한 미래를 지향해야 하는데 일본 고위인사들의 그릇된 언행과 함께 교과서의 개정방향도 우려스러운 방향으로 진행되고있다는 의견을 밝히고 있다.
한 당국자는 "독도문제는 물론 위안부 문제와 관련해 현재까지 파악한 바에 따르면 각각 16군데나 문제의 소지가 있는 표현을 쓴 것으로 드러났다"면서 "이는 교묘하게 자신들의 논리를 강화하겠다는 의도를 숨김없이 드러낸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특히 "일본 총리의 야스쿠니 참배는 공적 참배가 아닌 개인적 참배여서 헌법에 위반되지 않는다는 뜻을 은연중 느낄 수 있도록 수정한 대목이 교묘한 논리조작의 대표적 사례"라고 설명했다.
또 일제의 난징 대학살 등 일본군의 만행에 대해서도 `부정적 이미지'를 최대한 완화시키려는 검정 의도를 고스란히 드러냈다고 이 당국자는 강조했다.
반면, 일본이 피해자가 되는 북한의 일본인 납치 문제는 가급적 부각하는 방향으로 교과서 내용을 유도하는 이중성을 노정하고 있는 것으로 정부는 분석했다.
이에 따라 정부는 전문학자들이 이번 교과서의 내용을 면밀히 분석하는 작업이 끝나는 대로 철저한 대응방안을 마련할 방침이다.
(서울=연합뉴스) lwt@yna.co.kr
ⓒ 미디어워치 & mediawatch.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