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은 55개에 이르는 소수민족 문제로 인해 일어날 수 있는 돌발사건 처리에 대비, 소수민족 집단 간의 관계를 모니터링하는 체계를 구축하기로 했다.
중국 국무원은 29일 전문을 발표한 '소수민족사업 11.5규획'을 통해, 이 모니터링체계가 "민족의 단결과 사회안정, 국가안전을 수호하기 위해 민족 분열주의를 단호하게 근절하려는데 그 목적이 있다"고 밝혔다.
국무원 민족사무위원회 다인주브 옹보인(丹珠昻奔) 부주임은 이날 기자회견에서, "모든 민족관계는 다민족국가인 중국에 대단히 중요한 정치.사회관계로서 현재 중국 민족관계의 전반적인 상황은 매우 좋다"고 말했다.
다인주브 부주임은 "그러나 각 민족 사이에 존재하는 언어, 문화, 풍속 및 종교 등의 차이와 경제적 이익을 둘러싼 문제로 인해 서로 다른 민족들 간에 약간의 모순과 다툼도 있다"고 일부 소수민족 간의 알력이 없지 않음을 시인했다.
그는 민족관계 모니터링 체계 구축을 통해 민족적 원인으로 일어날 수 있는 돌발사건 처리를 위한 응급대책을 제정하는 한편 과학적이고 표준화한 민족관계 평가지표 시스템을 확립해 민족관계의 동향과 변화추세 등을 파악하게 된다고 설명했다.
이러한 조치와 시스템을 통해 소수민족 업무의 관리능력과 수준을 높여 민족적 원인에 의한 돌발사건을 즉시 원만하게 처리함으로써 각 민족이 화목하게 공존하고 서로 협조하며 조화롭게 발전할 수 있도록 촉진한다는 것이다.
중국 정부는 특히 분리독립단체들의 저항이 다른 어느 지역보다 두드러지는 신장(新疆)위구르자치구 등 서부지역의 테리리즘, 분리주의, 극단주의 등 이른바 '세 가지 세력(三股勢力)' 근절에 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신장위구르자치구 공안기관은 지난 1월5일 파미르고원 산악지대에서 유엔에 의해 테러조직의 하나로 지목된 동(東)투르키스탄이슬람운동(ETIM) 테러훈련 기지를 급습, 총격전 끝에 18명의 테러분자를 사살하고 17명을 체포한 바 있다.
신장 일대에서는 1933년 11월 '동투르키스탄 이슬람국'을 세웠던 동투르크족을 중심으로 1949년 중국의 수중에 들어간 동투르키스탄의 분리독립을 주장하는 단체들이 1990년대 이후 지금까지 산발적인 저항운동이 계속돼 왔다.
(베이징=연합뉴스) don@yna.co.kr
ⓒ 미디어워치 & mediawatch.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