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제보 및 독자의견
후원안내 정기구독 미디어워치샵

기타


배너



한덕수(韓悳洙) 국무총리 지명자에 대한 29일 국회 인사청문회에서는 한 지명자의 재산형성 과정과 외환은행 불법매각 과정에서의 관여 의혹 등이 도마 위에 올랐다.

한나라당 주성영(朱盛英) 의원은 "한 지명자가 소유 및 거주중인 서울 종로구 신문로 2가-199, 1-173, 1-179 소재 주택은 장인으로부터 3억8천만원에 매입해 1989년 4월 지명자 명의로 등기가 이전됐지만 99년 10월까지 10년 6개월간 월세를 줘 무려 6억2천만원을 벌어들였다"면서 "매입 직후 임대해 거액을 벌어들인 점과 주택시가도 구입 당시보다 5배 이상 급등한 점을 볼 때 거주 목적이 아니라 월세임대 또는 투기목적으로 이 주택을 구입한 의혹이 짙다"고 주장했다.

주 의원은 또 "한 지명자의 부인은 80년 지인에게 1천만원을 빌려줬다가 82년 북제주군 한림읍 금농리 2034번지 소재임야 714㎡의 토지로 변제받았고, 이를 94년까지 13년간 소유하다가 북제주군에 협의 매도했다"며 "한 지명자의 부인이 통상적 근저당권 설정 방법을 택하지 않고 채무 변제의 형태로 토지소유권을 넘겨받은 것은 채권을 빙자해 제주도에 땅 투기를 한 의혹을 면하기 어렵다"고 말했다.

같은 당 고흥길(高興吉) 의원도 "2006년 2월과 8월 관보에 게재된 한 지명자의 재산공개목록을 보면 서울시 종로구 장교동 22-1외 4필지의 가격은 1억6천7백39만6천원으로 94년 7월 신고한 토지가격 1억6천294만9천원보다 444만원밖에 높지 않다"며 "재건축지역인데다 12년이 지났음에도 차액이 4백여만원에 불과하다는 것을 국민이 납득할 수 있겠는가"라고 추궁했다.

고 의원은 또 "94년 7월 관보에 개재된 후보자의 재산공개내역 중 인천 남동구 운연동 74-9번지 토지의 신고액은 4천466만여원이지만 작년 8월 신고액은 3천75만여원으로 약1천391만원이 오히려 줄었다"면서 "이 지역의 공시지가가 90년에 비해 작년 현재 2배 이상 오른 것을 감안할 때 납득하기 어렵다"며 축소 신고 의혹을 제기했다.

그러나 열린우리당 김명자(金明子) 의원은 "재산형성 과정에 특징이 있다. 평생 `1가구 1주택'으로 살았고, 증여 상속재산과 지인에게 빌려준 1천만원에 대한 토지 변제를 제외하고는 직접 땅을 사본 일이 없으며 주식 거래나 투기성 금융자산을 보유했던 적도 없다"며 "공직자라서 재산 증식의 수단을 활용하지 않은 것인가"라며 은근히 한 지명자를 `엄호'했다.

김 의원은 다만 "은행예금 액수가 보통 사람으로서는 생각하기 어려운 19억3천만원으로 당연히 형성 내역에 관심이 쏠릴 수밖에 없다"며 재산형성 내역에 대한 설명을 요구했다.

한나라당 진수희(陳壽姬) 의원은 외환은행 매각과 관련, "한 지명자는 작년 국회 대정부질문 답변을 통해 `(BIS비율을) 조작했다는 주장에 동의할 수 없다', `헐값매각이라고 보지 않는다'"고 발언했지만 감사원과 검찰에 의해 헐값매각, 불법매각임이 드러났다"며 "결국 지명자가 국민앞에 거짓말을 한 셈인데 총리후보자로서 자격이 있다고 생각하는가. 국민에게 사과해야 하지 않나"라고 추궁했다.

진 의원은 또 "론스타가 외환은행을 사들이는 과정에서 한 지명자는 론스타의 법률대리인인 `김&장'의 고문으로 재직하면서 1년도 채 되지 않는 기간에 1억원이 넘는 거액을 받았다. 이는 `김&장'이 하는 특정한 일에 커다란 도움이 되는 역할을 했기 때문일 것"이라며 "`김&장'이 론스타의 법률대리인으로 외환은행 불법매각에 주도적으로 참여하는데 있어 모종의 역할을 한 것은 아닌가"라고 따졌다.




(서울=연합뉴스) south@yna.co.kr



배너

배너

배너

미디어워치 일시후원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현대사상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