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핵 `2.13 합의'가 도출된지 10여일이 지나면서 북한 핵폐기 초기조치와 상응조치 이행을 위한 5개 실무그룹들이 `각개 약진'하고 있다.
6자회담 참가국들이 차기 회담 개막 날짜(3월19일)를 `2.13 합의'에 명시하고 합의 시점에서 30일 이내에 실무그룹 회의를 개최하기로 함에 따라 각국이 25일 현재 발빠른 움직임을 보이고 있는 것.
우리 정부가 의장국을 맡은 에너지.경제 협력 실무그룹은 이미 지난 22일 주무 부서인 외교부와 청와대.통일부.산자부.국정원 등 당국자들이 참석하는 정부 내 대책회의를 갖는 등 빠른 행보를 보이고 있다.
북한이 60일 안에 초기조치 이행 차원에서 영변 핵시설을 폐쇄.봉인한 뒤 국제원자력기구(IAEA) 사찰단을 수용하는 때에 맞춰 북한에 제공키로 약속한 `중유 5만t 상당의 에너지'를 준비해야 하는 만큼 경제.에너지 협력 그룹은 비핵화 그룹과 함께 가장 시간적 압박을 많이 받는 셈.
`중유 5만t'으로 규정된 것이 아니라 `중유 5만t 상당의 에너지'로 합의문에 명시된 만큼 실무그룹 회의를 통해 북한이 받고자 하는 `품목'을 파악한 뒤 구입 및 배송 절차까지 순조롭게 진행하려면 결코 느긋할 수 만은 없는 입장이라고 당국자들은 입을 모은다.
정부는 에너지 실무그룹 의장을 당초 검토했던 국장급에서 상향조정, 6자회담 수석대표인 천영우 한반도평화교섭 본부장에게 맡기기로 하고, 실무그룹 1차 회의 개최 시기 및 장소를 관련국들과 협의 중이다.
천 본부장이 최근 3월12일 시작하는 주에 에너지.경제협력 실무그룹 회의를 갖는 방안을 구상중이라고 밝힌 가운데 회의 장소로는 그간 거론됐던 베이징(北京), 서울 중에서 베이징 쪽에 무게가 실리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정부는 이르면 이번 주 중 개최시기 및 장소를 결정할 예정이다.
또 중국이 의장을 맡은 한반도 비핵화 실무그룹도 중국측 당국자들이 춘제(春節) 연휴를 마치고 업무에 돌입하는 이번 주부터 본격 가동에 들어갈 전망이다.
특히 `2.13 합의'이후 별다른 움직임이 없던 북한이 지난 23일 모하메드 엘바라데이 IAEA 사무총장의 방북을 초청함에 따라 비핵화 실무그룹의 활동도 속도를 낼 전망이다.
중국은 엘바라데이 IAEA사무총장의 방북시기가 정해지는 대로 그 일정과 연계해 한반도 비핵화 실무그룹 회의 일정을 잡을 것으로 보인다.
외교가에서는 실무그룹 중 초기단계에서 핵심적인 역할을 할 에너지.경제 협력과 비핵화 실무그룹 등의 회의는 차기 6자회담 개막 전 주인 3월12일 시작하는 주에 베이징에서 잇달아 개최될 가능성이 적지 않다고 보고 있다.
아울러 북.일, 북.미 관계 정상화 실무그룹도 곧 본격가동될 조짐을 보이고 있다.
북.미관계 실무그룹의 경우 김계관 북한 외무성 부상의 1일 방미 가능성이 제기되면서 가시권에 들어온 상태다.
앞서 6자회담에서 힐 차관보와 김 부상이 관계 정상화 워킹그룹 회의를 위해 뉴욕에서 만나기로 한 만큼 두 수석대표의 회동이 성사되면 `2.13 합의'에 나오는 대로 테러지원국 지정해제와 대적성국 교역법 종료를 위한 초기 절차를 협의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이와 함께 힐-김계관 회동때는 `2.13 합의' 내용 중 하나인 북한의 핵프로그램 목록 협의도 일부 이뤄질 것으로 관측된다.
북.일 관계 정상화 실무그룹 회의도 북.미 실무그룹과 함께 3월 초순 개최될 가능성이 큰 것으로 전해졌다.
이와 관련, 일본 교도통신은 다음달 5일 시작되는 주에 북.미, 북.일 실무그룹을 먼저 개최하고 한반도 비핵화 등 나머지 3개 그룹은 그 다음주에 개최하는 방향으로 관계 각국간에 조정중이라고 이날 보도했다.
북.일관계 실무그룹 회의는 베이징에서 열릴 것으로 보이며 북측에서는 송일호 외무성 북일관계정상화 대사가 이 그룹을 담당할 것으로 알려졌다.
이들에 비해 시급성 측면에서 다소 밀리는 동북아 평화안보체제 실무그룹의 경우 현재까지는 가시적 움직임이 파악되지 않고 있다.
(서울=연합뉴스)
jhcho@yna.co.kr
dhsuh519@yna.co.kr
ⓒ 미디어워치 & mediawatch.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