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제보 및 독자의견
후원안내 정기구독 미디어워치샵

기타


배너

6자회담 내일 개막..'합의문서' 도출 주목

각국 대표단 속속 도착..8일 오후 수석대표 회동 예정

제5차 6자회담 3단계 회의가 8일 개막한다.

지난해 12월의 2단계 회의 이후 50여일만에 재개되는 이번 회담에서는 9.19 공동성명 이행을 위한 핵폐기 초기단계 이행조치와 이에 상응하는 호혜조치의 내용을 구체화하는 합의가 도출될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보인다.

의장국 중국은 지난 2단계 회의에서 각국의 입장이 충분히 개진된 만큼 별도의 개막식을 갖지 않고 8일 오후부터 각국 수석대표 회동을 진행하는 등 효율적인 협상을 유도할 방침인 것으로 7일 알려졌다.

이와 관련, 장위(姜瑜) 중국 외교부 대변인은 지난 6일 정례브리핑에서 "이번 6자회담의 핵심은 9.19 공동성명 이행을 위한 참가국들의 행동과 조치가 깊이있게 논의될 것"이라며 "한반도 비핵화 목표가 실현되길 바란다"고 말했다.

북한을 제외한 나머지 5개국들은 북한의 핵폐기 초기이행조치와 관련, 플루토늄 추가생산을 막기 위한 영변 5MW 등 핵시설의 가동중단 및 폐쇄와 그에 대한 국제원자력기구(IAEA)의 감시인력 수용 등을 상정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가동중단 및 폐쇄의 대상으로는 1994년 제네바 북.미 기본합의에서 동결됐던 영변 5MW 원자로와 핵연료봉 공장, 방사화학실험실과 함께 현재 공사 중인 50MW 원자로 및 200MW 원자로 등 5개 시설 등이 거론되고 있다.

정부 당국자는 "단순한 가동중단 보다는 더 나아가야 한다"며 "관련 핵시설을 폐쇄하는 것을 생각하고 있다"고 말했다.

북한에 대한 상응조치로는 대북 서면 안전보장을 비롯, 북.미 관계 정상화 초기 조치와 경제.에너지 지원 등이 검토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특히 대북 에너지 지원과 관련, 북한이 중유 등 대체에너지의 내역을 적시해 요구사항을 제시할 경우 나머지 5개국이 향후 지원방식과 원칙을 협의해야 할 것으로 보인다.

정부 당국자는 "5개국이 북한에 무엇을 줄 것인지를 합의하는 것이 북한과의 협상 못지 않게 어려울 수 있다"면서 "회담이 열리면 이 문제에 대해서도 논의를 해야 한다"고 말했다.

하지만 대북 에너지 지원과 관련, 일부 국가가 소극적인 입장을 피력하거나 '특정현안'에 대한 진전이 없을 경우 지원에 참여할 수 없다는 입장을 보이고 있어 5개국간 협의가 진통을 겪을 가능성도 있다고 외교소식통들은 전했다.

의장국 중국은 초기이행조치와 상응조치를 연관지은 비핵화 합의내용을 문서화하는 한편 주요 이슈별 워킹그룹 구성문제도 합의문서에 포함시킬 것으로 알려졌다.

한편 천영우 한반도평화교섭본부장을 비롯한 각국 대표단은 대부분 7일중 베이징에 도착할 예정이며 북한측 수석대표인 김계관 외무성 부상은 개막일인 8일 오전 도착할 것으로 알려졌다.


(베이징=연합뉴스) lwt@yna.co.kr



배너

배너

배너

미디어워치 일시후원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현대사상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