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상청장 "예년보다 더 잦아져"…황사주의보ㆍ경보 기준 강화
이만기 기상청장은 1일 "황사가 올해 봄 우리나라에 평년(3.6일)보다 더 자주 찾아오고 4월에 주로 발생할 가능성이 높다"고 밝혔다.
이 청장은 이날 정책브리핑을 통해 "황사 발원지 및 중국 북부 내륙지역의 겨울철 기온이 평년보다 높게 유지되면서 발원지에서의 황사 발생 가능성이 높다"며 "특히 네이멍구와 황토고원의 기온이 예년보다 높고 매우 건조하기 때문에 이런 전망에 무게를 실어주고 있다"고 말했다.
지난해에는 황사가 서울의 경우 모두 11일, 광주와 강릉은 13일 각각 발생한 바 있다.
그는 "동북아시아 하층 바람의 경우 4월에 서풍류가 강할 것으로 예측되고 있는 만큼 발원지에서 생긴 황사가 이 바람을 타고 우리나라로 이동할 가능성이 크다"고 설명했다.
이 청장은 황사에 효과적으로 대처하기 위해 중국과 몽골 황사 관측망을 지난해 5곳에서 올해 20곳으로 확대, 실시간 모니터링 체제를 구축하고 속초와 춘천, 영월, 안동, 대구, 진주 등에도 국내 황사 관측망을 설치하기로 했다고 말했다.
기상청은 황사주의보 발효 기준을 종전 500㎍/㎥에서 400㎍/㎥으로, 황사경보 발효기준을 1천㎍/㎥에서 800㎍/㎥으로 각각 하향 조정하는 방안을 검토키로 했다.
그는 "내년에는 황사 조기경보 센터 설립을 추진, 24시간 황사 감시 및 분석시스템을 구축할 것"이라며 "차세대 기상모델을 활용한 황사예측모델도 개발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 청장은 "황사 피해 경감을 위한 한국과 중국, 일본, 몽골 기상청장 협의체 구성을 추진하고 남북협력기금을 활용, 개성과 금강산에 황사관측장비를 설치하는 방안도 중ㆍ장기 대책으로 검토하고 있다"고 말했다.
그는 최근 수도권 일대의 적설 예보가 빗나간 이유로 ▲ 수치예보 모델의 낙후 ▲ 예보관의 분석 능력 향상 여건 미흡 ▲ 서해상과 경기만 관측시설 부족과 모델 적설예측 한계 ▲ 지구온난화 및 엘니뇨 영향 을 꼽았다.
이 청장은 예보 능력 향상 대책으로 수치예보 모델 개선과 예보관 예보 능력 제고, 악(惡)기상별 전문가 풀 적극 활용, 수도권 전방 관측망 강화 등을 내놓았다..
(서울=연합뉴스)
chunjs@yna.co.kr
(끝)
ⓒ 미디어워치 & mediawatch.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