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제보 및 독자의견
후원안내

기타


배너

환경부는 국립공원의 공공성 제고와 사회적 갈등해소 및 국민의 문화·휴식공간 제공 등 대 국민 서비스 제고차원에서 내년 1월1일부터 국립공원입장료를 폐지한다고 밝혔다.

국립공원입장료는 1970년 처음 도입되어 금년 12월 현재 전국 20개 국립공원 중 경주국립공원을 제외한 19개 국립공원에서 1인당 1,600원(어른 기준)을 받고 있으며, 입장료 수입액은 271억원('05년)으로 전체 국립공원관리비용의 22% 수준이었다.

그동안 국립공원입장료는 문화재관람료와의 합동징수논란, 공원구역 내 약 7만명에 이르는 거주민과 그 방문객, 사찰신도의 불만 등 크고 작은 사회적 논란을 제공해 왔었다.

환경부는 이번 입장료 폐지가 해묵은 사회적 논란을 해소하고, 자연자원 체험기회의 확대 등을 통해 국민의 삶의 질 향상에 크게 기여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그러나, 공짜심리에 따른 무분별한 공원이용과 그에 따른 자연자원의 훼손이 우려되므로 탐방객 증가에 따른 자연자원훼손의 최소화를 위하여 공원시설예약제, 성수기 할증 등 이용시기 분산방안 추진과 함께 자연휴식년제 확대, 출입통제지역 관리강화 등 보호지역관리를 강화하고, 탐방객의 편의와 안전제고를 위하여 주차료 등의 신용카드결제, 주요지점 안내원 배치, 현 매표소의 탐방지원센터 전환, 재난안전구조반 확대 등을 추진하며, 국립공원을 쉽게 이해하고 체험할 수 있도록 자연해설프로그램을 다양화하고 자연학습시설, 오토캠핑장, 통나무집 등 가족이 함께 체류하면서 자연을 배울 수 있는 기반시설도 확충해 나갈 계획이다.

환경부는 국립공원입장료와 별도로 문화재보호법에 의거 사찰 등에서 징수하는 문화재 관람료는 계속 징수하게 된다면서, 자연자원과 함께 국립공원의 중요 자산의 하나인 사찰문화재를 더욱 쉽게 이해하고 접할 수 있도록 공동홍보 등 사찰 측과 협력을 강화해 나갈 계획이라고 밝혔다.

환경부는 입장료폐지를 계기로 올바른 공원이용문화가 정착되기를 기대하면서 소중한 자연유산인 국립공원을 온전히 후손에게 물려 줄 수 있도록 국민의 적극적인 협조를 당부했다.

참고로 국립공원입장료 폐지는 '07년 정부예산안에 대한 국회의결 과정을 거쳐 최종 확정되게 되나 국민의 기대가 크고 당정협의를 거친 만큼 무난히 의결될 것으로 전망된다.



배너

배너

배너

미디어워치 일시후원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현대사상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