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제보 및 독자의견
후원안내 정기구독 미디어워치샵

기타


배너

북 “핵 프로그램은 포기해도 핵무기는 안돼”

분리 원칙 제시...미국 등 관련국은 '무시 입장'

 

북한이 미국과의 핵폐기 이행조치 논의 과정에서 '성공적인 핵실험으로 핵보유국'이 됐음을 강조하면서 폐기대상에 핵무기를 제외하겠다는 의사를 밝힌 것으로 21일 알려졌다.

이는 '모든 핵무기와 현존하는 핵 계획'을 폐기대상으로 규정한 9.19 공동성명 내용과는 동 떨어진 것으로, 핵실험을 계기로 이른바 '보상내용'을 크게 하려는 협상전술로 풀이된다.

6자회담에 정통한 외교소식통은 "북한의 그런 주장은 협상에서 우위에 서려는 선전술로 풀이되며 미국은 물론 다른 관련국들은 무시하는 입장"이라면서 "하지만 정말 북한이 앞으로도 계속 이런 입장을 견지한다면 협상은 더욱 어려워질 것"이라고 말했다.

이 소식통은 "19~20일 진행된 북미 양자회동에서 북한은 주로 BDA(방코델타아시아) 문제를 선결해야 한다고 주장했다"면서 "핵폐기 이행조치를 논의하는 단계에서는 과거와 다른 내용을 시사했다"고 전했다.

북한의 김계관 외무성 부상은 지난 18일 1차 전체회의 기조연설에서 '제재해제 선결'을 전제하면서 "조건이 성숙할 경우엔 현존하는 핵프로그램을 포기하는 논의도 가능하다"고 했지만 9.19 공동성명에서 적시한 '핵무기'는 언급하지 않았다.

이와 관련, 조총련 기관지인 '조선신보'는 20일자 보도에서 김 부상의 발언을 소개하면서 "현 단계에서 핵무기를 제외한 현존 핵계획의 포기 문제를 토의할 수 있다는 것으로 집약된다"고 전했다.

'핵군축 회담 불가피' 주장과 함께 핵폐기 대상에 '핵무기'를 제외한 북한의 입장은 이번 회담은 물론 향후 속개될 회의에서도 핵심쟁점이 될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관측된다.

조선신보는 "김계관 부상이 전체회의 기조발언에서 '우리는 국제적인 인정을 받자거나 선전용으로 써먹기 위해 핵무기를 만든 것이 아니므로 그에 대해 누가 인정하든 말든 개의치 않으며 가지고 있는 것만으로 만족하다'고 말했다"고 전했다.

 

 

(베이징=연합뉴스) 이우탁 기자
lwt@yna.co.kr



배너

배너

배너

미디어워치 일시후원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현대사상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