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제보 및 독자의견
후원안내 정기구독 미디어워치샵

미디어워치 (국내언론)


배너

“포털의 정보독점·왜곡은 국민의식 개조 수준”

김상민 의원 “포털이 보여주는 것에 따라 자신의 의지와 무관하게 선택하게 돼”


공룡 IT기업 네이버와 다음의 시장 독점 문제 등이 연일 국감장 도마에 오르는 가운데 포털의 정보유통 왜곡과 관련한 문제점도 부각되고 있다. 정보를 독점하고 일방적으로 보여주는 포털의 가치관에 국민의식이 바뀔 것이라는 암울한 디스토피아적 전망도 나온다.

국민 개개인이 포털의 자의적 기준에 따라 노출하는 정보와 뉴스를 클릭하면서 포털에 길들여지는 사이 부지불식간에 포털이 만든 가치와 철학에 젖어들 위험에 노출돼 있다는 문제의식에서다.

구글과 같은 해외 검색사이트와 달리 네이버와 다음 등 국내 포털사들은 방대한 정보와 자료를 포털 안에 가두고 이용자들을 끌어 모으는 폐쇄정책을 고수하는데다, 포털은 자의적 편집을 통해 ‘보여주고 싶은 정보’만 보여주는 방식을 고수해오고 있다.

국내 인터넷·모바일 시장조사업체 랭키닷컴에 따르면, 지난 6월 기준으로 네이버 PC접속자(www.naver.com) 수는 약 3378만명이었고, 모바일 앱(2199만명)과 모바일 웹(1881만명)도 약 2천만명에 달하는 수준이었다. 다음카카오는 같은 기간 모바일 앱 방문자 수가 3038만명이었고, PC버전은 1781만명이었다.

또 다른 업체 코리안클릭에 따르면, 지난 6월 기준으로 우리 국민의 카카오와 다음, 네이버 서비스 하루 평균 이용시간은 각각 37분, 12분, 11분에 달했다. 하루에 꼭 1시간은 두 회사 서비스를 이용하는 셈으로, 한국인의 일상은 네이버와 다음카카오를 빼곤 설명할 수 없을 정도가 됐다.

이런 가운데 포털사는 뉴스편집 불공정 논란에 대해서도 편집 원칙을 제대로 밝히지 않은 채 다만 ‘알고리즘에 따라 배치한다’며 공정성 논란을 일축하고 있다.

18일 국회 교육문화체육관광위원회의 한국언론진흥재단 국정감사에서 김병호 이사장은 “포털 기사 배열의 기본 방침과 책임자를 공개하기로 돼 있는데 현재 95%가 공개되지 않고 있다”고 지적했다. 그러나 포털 측은 이에 대해 납득할만한 별다른 해명을 내놓지 않고 있다.

새누리당 김상민 의원도 이날 한 라디오방송에 출연해 “자신의 의지와 무관하게 포털이 보여주는 것에 따라 선택하게 되는 경우가 많다”고 문제를 제기했다.

김 의원은 “그동안 네이버나 다음 등 포털은 검색업체로 여겨졌지만 수익 구조를 보면 기존 언론과 개인의 수많은 콘텐트를 굉장히 싼 가격에 사서 중간에 유통하고 폭리를 취하는 형태”라며 “정보 소비자 입장에서 자신이 원하는 정보를 직접 찾아간다기 보다 포털이 보여주는 것에 따라 자신의 의지와 무관하게 선택하게 되는 경우가 많다. 그래서 포털이 ‘독점적인 정보 유통자’ 역할을 한다는 것”이라고 지적했다. 독점적 정보유통자인 포털에 의해 사고의 왜곡현상이 일수 있음을 지적한 것으로 풀이되는 대목이다.

“포털 정보를 강제적으로 취득하는 국민 의식개조당하는 것” “포털의 폐쇄정책 한국 우물안 개구리 만들어”

국회 정무위원회 소속인 김 의원은 앞서 전날 열린 공정거래위 국정감사에서도 “시장점유율 70%를 넘어서는 독과점 포털이 대형 정보유통업을 하고 있는 데 대해 공정위의 조치가 필요하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김 의원은 “독과점뿐 아니라 정보 배치를 마음대로 하기 때문에 불공정한 거래도 이뤄진다”면서, 네이버 윤영찬 이사가 “포털 뉴스 배치 인력이 20명”이라고 말한 것과 관련해서도 “굉장히 왜곡된, 포털이 주고 싶은 정보가 노출된다는 것이 국감에서 밝혀졌다”고 지적했다.

이처럼 포털의 정보독점이 국민사고에도 큰 영향을 미친다는 지적이 나온다. 박한명 미디어그룹 ‘내일’ 대표 겸 시사미디어비평가는 “포털의 정보 왜곡이나, 포털이 주는 정보를 강제적으로 취득해야 하는 국민 입장에선 의식개조를 당하는 것과 마찬가지”라고 꼬집었다.

개방형 블로그 서비스 티스토리 닷컴의 닉네임 ‘환희L’이란 이용자는 이와 관련한 <네이버 다음과 같은 초대형 포털의 기형적인 정보의 독점과 그 미래>란 제목의 포스팅에서 “기업과 영리목적의 중심인 정보 독점체제가 계속 이어질 것”이라고 우려하면서 “시간이 갈수록 소비자들은 한정된 사이트에서 고인 정보만 접할 수 있어 인터넷의 주 목적을 심각히 훼손한다. 한국은 세계화에서 거꾸로 가는 우물안 개구리가 될 것”이라며 “세계의 연결망에서 제외될 것이며 그로 인한 피해는 전 국민이 실감할 것”이라고 지적했다.

미디어내일 박주연 기자 phjmy9757@gmail.com



배너

배너

배너

미디어워치 일시후원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현대사상

더보기